아이언맨 3 - 어벤져스라는 거대 영화의 속편이라는 부담감을 이겨낸 에너지 횡설수설 영화리뷰

 드디어 여름 블록버스터 시장이 열렸습니다. 사실 작품의 크기로만 보자면 2주전에 열린 상황이죠. 아무튼간에, 이번주는 정말 재미있는 주간입니다. 개인적으로 기대하고 있는 작품이 두 작품이나 몰려 있는 주간이니 말입니다. 물론 한 편은 조금 상황이 미묘하게 돌아가고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일단 보러 간다는 것 자체가 즐거운 작품이라 말이죠. 사실 이 오프닝을 쓰고 있는 현재, 그 생각을 하기 전에 어지럼증부터 어떻게 해야 할 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어쨌거나 리뷰 시작합니다.







 아이언맨 시리즈는 어찌 보면 마블의 영화 라인에서 유일하게 성공한 케이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물론 극장이 아닌 영화관에서의 이야기죠. 만화책 라인은 상황이 약간 다르기 때문에 이런 이야기를 뭐라고 하기가 좀 어렵기는 합니다. 우선적으로 제가 관심이 별로 없으니 말입니다. 아무튼간에, 아이언맨 시리즈는 마블의 영화화를 계속해서 하게 만드는 힘이 있죠. 몇몇 외부에 팔려간 작품들은 이야기에 포함 시키기는 어렵지만 말이죠.

 
아무튼간에, 아이언맨 시리즈는 성공을 거두고, 어벤져스를 만들게 한 장본인입니다. 영화에서 드디어 여러 히어로가 만화책의 라인처럼 서로 겹치게 되는 상황으로 영화를 구성 하는데에 성공을 한 겁니다. 물론 그 문제로 인해서 여러 영화가 같이 나오기는 했습니다. 우선 헐크가 나왔고, 그 다음에는 토르가 나왔으며, 캡틴 아메리카까지 나왔습니다. 하지만 아이언맨 외에는 흥행에서 대성공을 거뒀다고 할 만한 상황은 아니었습니다. 당시에는 이런 문제로 인해 어벤져스를 위해서 예고편만 주구장창 만든거 아니냐 하는 이야기가 돌 정도였죠.

 
물론 이 문제는 성공을 거둔 아이언맨 역시 마찬가지였습니다. 1편은 기존에 보지 못한 히러로를 소개 하는 방식으로 했을 때 나름 괜찮은 스토리라인을 가져왔죠. 게다가 이 문제에 관해서 대단히 특이한 스타일을 선보였고 말입니다. 그렇게 함으로 해서 어벤져스가 나오기 전에 유일하게 두 편을 진행 시킨 마블의 슈퍼히어로가 되었습니다. (물론 어벤져스에 출연한 히어로 한정 이야기입니다.) 문제는 2편이었습니다.

 
2편이 나쁘다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영화가 재미있었다는 점에서는 확실히 재미있는 방향으로 가기는 했습니다만, 이 영화가 나오던 때를 생각 해 보면 워낙에 잘 만든 작품이 계속해서 나왔기 때문에, 그리고 어벤져스가 곧 나올거라는 이야기가 있었기 때문에 결국 2편은 예고편 취급으로 내려가 버리고 말았습니다. 그렇게 해서 나온 어벤져스가 진짜 재미있는가가 결국 의심받는 상황까지도 가버렸기도 했고 말입니다.

 
다행히 어벤져스는 이 지점에서 봤을 때는 대성공을 거뒀습니다. 기본적으로 사건에 관해서 잘 풀어 가면서, 이야기 자체를 부각 시키는 데에도 성공을 거뒀습니다. 그리고 각각의 캐릭터의 융합에 관해서 역시 대단히 잘 해 냈고 말입니다. 물론 이 면에서 봤을 때 독립적인 영화 한 편으로서의 역할 역시 잘 해 냈고 말입니다. 문제는, 이 이후에 이야기가 어떻게 진행이 되는가 하는 점이었습니다. 분명 어벤져스는 잘 만든 작품이기는 했습니다만, 영화가 아무리 잘 만들었다고 해도 후편에 영향을 크게 미칠 수 있으니 말입니다.

 
사실 이 문제는 어벤져스의 상당히 독특한 포지션으로 인해서 발생하게 된 의문이라고 할 수 있었습니다. 어벤져스는 모든 히어로들이 나오는 속편격의 작품이었고, 이런 속편에서 한 사람만 등장하는 상황이 될 테니 말입니다. 모두가 잘 해 내는 힘을 영화 내내 다 보여주는 상황을 이미 잘 보여줬는데, 이번에는 그 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 에너지를 한 사람에게 집중시키는 역할 마져도 해야 한다는 겁니다. 이 영화가 보여주고 있는 상황은 바로 이런 지점에서 어려움이 생기게 됩니다.

 
게다가 이 상황에서는 원맨쇼를 벗어난 사람들에게 무엇을 보여줘야 하는 상황이 되어 버린 겁니다. 그것도 거의 동일한 분위기에서 말입니다. 이는 결국에는 영화를 구성 하는 데에 상당히 복잡한 부분들이 될 수 밖에 없었습니다. 1편과 2편의 방향성을 그대로 유지 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해 보이는 상황이 된 겁니다. 게다가 이 상황에 몸집 역시 거의 어벤져스에 가깝게 불려야 하는 상황 역시 벌어지게 되어 버렸고 말입니다.

 
다행히 이 영화는 나름대로의 방식을 작용시킴으로 해서 영화의 스타일을 유지 하면서도, 영화에 어벤져스가 가지고 있던 에너지를 거의 그대로 가져오는 것 역시 성공을 거두고 있습니다. 이는 영화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어느 정도는 영화의 스펙터클이라는 점 덕분이었습니다. 물론 아무래도 어벤져스 자체가 아이언맨이 상당히 중요하게 등장한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는 괴리감을 벗어나는 것 역시 가능했고 말입니다. 물론 이런 상황에 관해서 영화가 즐겁게 보여준다는 점 역시 있고 말입니다.

 
기본적으로 이 영화에서는 과거에 엄청나게 가벼운 부분들을 어느 정도 제거하고 진행 합니다. 사실 그 가벼움으로 인해 영화가 영 제자리를 못 찾고 스펙터클 역시 약화 된다는 느낌을 작품에서 어느 정도 이상은 잡아 내야만 했습니다. 1편과 2편의 문제중 하나가 너무 많은 가벼움으로 인해서, 그리고 이런 문제로 인해서 이야기 자체가 정신 없게 진행이 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 와중에 스펙터클은 뭔가 부족해 보인다는 이야기를 듣는 상황이기도 했고 말이죠.

 
그렇다고해서 무게가 없다는 것은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아이언맨을 이루고 있는 것이 어느 정도 여유로움인 것 만큼, 그 여유에 관해서 작품이 보여줘야만 하는 상황인 것이죠. 다만 이번에는 그 여유를 과하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적재적소에, 특히나 아이언맨이 아닌 토니 스타크라는 캐릭터를 드러내야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그동안의 완급조절 부진을 완전히 털어냈다는 듯이 영화가 구성이 되어 있죠.

 
문제는 진중해지기 시작하는 부분입니다. 보통 아이언맨에서 진지해진다는 의미는 대략 이야기가 방향을 전환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것과 비슷한 상황입니다. 그런데 이 지점에서만 그렇고 그 뒤로 가면 다시금 심하게 가벼운 방향으로 영화가 다시 튀어버리는 경향이 상당히 심하다는 것이 아이언맨 자체의 문제로서 꼽히는 부분이었습니다. 이 영화는 그러한 진중해 보이는 지점이 직접적으로 등장을 하는 경우가 전편을 합친 것 보다도 많은 상황입니다. 결국에는 이 모든 것들이 완급조절과 연결이 되어 있다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다행히 이 영화는 진중하다는 것의 의미를 드디어 제대로 파악한 분위기입니다. 그리고 이 속에서 철이 없다와 여유가 있다 라는 것을 드디어 구분을 하게 되는 부분이기도 하고 말입니다. 그동안에는 여유가 넘치다 못해 철이 없는 역할을 했다고 한다면, 그래도 이번에는 여유는 있지만,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관해서 자각을 제대로 하고 있는 그런 토니 스타크를 영화 내내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영화의 스타일에 관해서 이야기 되는 것은 결국 그 진중함을 표현 하는 방식과 에너지와도 연결이 되어 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겁니다.

 
그리고 이 지점들의 등장에 관해서 영화는 독립적으로, 자신이 무엇을 표현해야 하는지를 정확히 알고 있기도 합니다. 그래고 본격적인 속편으로서의 역할 역시 모두 잘 해 내고 있죠. 여기서 말 하는 본격적인 속편의 역할로서 영화가 등장을 하는 지점은 토니 스타크가 자신의 문제에 관해서 계속해서 고민을 하고 잠을 못 자는 상황에서 설명이 됩니다. 이 문제는 그동안 아이언맨 시리즈에서 다루지 않았던 토니 스타크의 히어로적인 면모에 관한 고민이 드디어 시작이 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토니 스타크 이야기를 할 때 가장 묘한 점이라고 한다면, 생각 이상으로 고민에 관해서는 그다지 자세하게 묘사가 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단지 자신이 다쳤고, 자신의 무기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서 히어로를 선택했고, 동시에 이 문제에 관해서 자신이 히어로라는 또 다른 정체성에 관해 이야기를 할 때 진짜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따지는 부분에서는 결국 아무것도 다루지 않았습니다. 말로는 계속해서 이야기를 하는데, 진정으로 히어로의 면모를 가지고 있는가에 관해서는 다루지 않은 것이죠.

 
하지만 이번에는 드디어 그 질문에 본격적으로 답을 하게 되었습니다. 영화가 진행 되는 동안, 이 질문은 토니 스타크의 정신을 지배하는, 동시에 그의 육체적인 부분까지 지배하는 굉장히 어려운 부분으로서 등장을 했다는 겁니다. 이 영화에서는 그 질문에 관해서 끊임없이 이야기를 하고, 동시에 관객 역시 그 문제가 어떻게 진행이 되어 가는가에 관해 여전히 고민을 하게 만드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것은 토니 스타크가 스스로 무엇을 선택하는가에 관해 고민을 하게 만드는 것들이라고 할 수 있기도 했습니다.

 
보통 사람의 고민을 다루게 되면 영화에서는 어떤 트라우마적인 면을 다루게 됩니다. 이 트라우마성을 다루는 부분에 있어서 다른 영화의 경우는 영화의 스토리를 끄집어 내게 되지만 이번에 끄집어 낸 것은 이 영화의 스펙터클이라는 것과 연결이 되게 하는 지점도 있죠. 하지만, 이 모든 것들은 토니의 심리에서 기반을 하고 있습니다. 토니는 계속해서 주변을 사랑하고, 착한 면모를 보이지만 동시에 이 문제에 관해서 자기가 깊이 성찰하게 되는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성찰에 관해서 영화를 계속해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자신이 무엇을 잘 하는지와, 자신이 앞으로 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이 이겨내야만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깨달아 가는 과정이 영화 내내 투영이 되어 있는 것이죠. 물론 이 영화가 스토리에 관해서 그렇게 깊이 들어가는 영화는 아니기는 합니다만, 이 영화의 구조상 이 심리의 발전에 관해서 영화 자체가 이루어져 있다는 점 자체가 영화가 어느 정도 스토리적 방향성 제시에 굉장히 바람직한 부분이라는 겁니다.

 
물론 여기에는 다른 문제들이 계속해서 끼어들게 되기도 합니다. 이 영화에서 보여주는 그 다른 문제의 대다수는 사랑과 절실함에 관해서 주로 이야기 하는 부분들과 연결이 되어 있기도 합니다. 이 영화의 절대적인 재미라고는 할 수 없지만, 이 영화는 드디어 한 사람이 제대로 설정이 되어 가는 과정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문제에 관해서 충분히 매끄럽게 구성을 해 나가고 있고 말입니다.

 
물론 이 영화가 트라우마의 한 지점에서 토니라는 캐릭터를 설명하는 것 외에도, 영화 자체 내에서 또 다른 영화적인 완결성을 지니기 위한 한 축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이 부분은 기본적으로 마니아분들은 잘 알고 있는 어떤 사건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지점에서 발생하는 것은 결국에는 영화가 얼마나 하나의 스토리로 완결성을 가지는지와 깊은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작품은 적어도 그 문제를 정말 잘 해결 해 낸 작품입니다.

 
기본적으로 이 영화에서는 우리가 만화책으로 접했던 (국내에도 정발 되어 있습니다.) 어떤 물질에 관해서 이야기를 합니다. 그리고 이 물질과 관련된 사람들과, 동시에 그 물질을 이용한 부분들, 그리고 그 물질을 동작시키면서 동시에 드러나는 심리적인 부분들을 영화에서 그대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 영화에서 보여주는 에너지는 바로 이 지점입니다. 웃기는 점이라고 한다면, 이 것은 의외로 시각적인 볼거리를 끌어 내는 것과, 동시에 토니 스타크의 또 다른 심리를 다 끌어 내는 쪽으로 진행이 되고 있다는 겁니다.

 
여기서 대변되는 토니의 심리는 결국에는 스스로 지켜야 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관한 부분과, 동시에 자신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는 감정적인 부분들로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이 영화의 방식은 이 둘이 하나로 연결 되는 지점을 일부러 스펙터클로 만듦으로 해서, 영화 자체가 볼거리가 넘치는 영화를 만들고 있다는 점으로 해서 영화의 재미를 끌어 내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영화에서 보여주는 대부분의 에너지는 바로 그 볼거리와 연결이 되고 있기도 하고 말입니다.

 
볼거리 측면을 이야기 하기 전에, 한가지 더 재미잇는 사실은, 이 영화에서는 선악이 이상하게 꼬여 있다는 사실입니다. 게다가 현대 미국이 두려워하는 심리전이 동시에 들어가 있다는 것이죠. 이는 굉장히 묘한 부분인데, 아이언맨에서 드디어 만다린이 등장한다는 점을 생각해 보고, 동시에 이 만다린에 관해 영화가 굉장히 특색을 많이 줌으로 해서 오히려 이 것이 현실화 되어 버리는 이상한 면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스토리에 또 다른 소소한 재미를 주는 것과 동시에 영화에서 진짜 악이 무엇인지에 관해 이야기를 하는 부분이 됩니다.

 
보통 요즘에는 연기 이야기를 하지 않지만, 이 지점에 관해서 만다린역의 벤 킹슬리와 킬리언역의 가이 피어스가 너무나도 묘한 매력을 자랑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이야기를 끄집어 내야만 할 것 같습니다. 벤 킹슬리는 특유의 묘한 분위기를 자랑하는 동시에, 이 영화에서 굉장히 묘한 포지션을 지니고 있는데, 그 지점을 천연덕스럽다고 할 정도로 소화를 해 냅니다. 가이 피어스의 경우는 굉장히 잔혹한 면모를 드러내는데, 세련된 악당의 이미지를 굉장히 잘 소화 해냈습니다. 다만 약간 아쉬운게, 성격상 프로메테우스의 피터 웨일랜드 회장의 이미지를 거의 그대로 쓴다고 생각이 될 정도였죠.

 
더 묘한건, 이 속에 정말 기묘한 포지션을 가진 캐릭터가 하나 더 나온다는 겁니다. 이 문제가 부각이 되는 것은, 보통 이런 포지션을 지닌 캐릭터는 영화에 그럭저럭 등장하기는 하지만, 슈퍼 히어로 영화에서는 잘 보기 힘든 그런 포지션이라는 겁니다. 다행히 이 영화는 이 캐릭터에 관한 문제를 너무나도 훌륭하게 해결을 해 냈고, 결국에는 작품을 보는 재미를 여기서 끌어 내게 하는 힘 역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합격점을 줄 만 합니다.

 
이제 걸리는 문제는 비쥬얼의 면모인데, 액션 영화인 만큼, 그리고 전편이 어벤져스인 만큼 어느 정도 이상은 해야 하는 부담감이 작용 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 영화는 그 부담감에 관해서 꽤 잘 해석을 해 냈고, 동시에 관객에게 어떻게 드러내야 하는지에 관해서 역시 잘 보여주는 그런 작품이라고 할 수 있었습니다. 쉽게 말 해서, 이 작품의 비쥬얼적인 면모는 전혀 나쁘지 않은 수준이라는 이야기입니다. 이는 아이언맨의 전 시리즈 뿐만이 아니라 어벤져스의 이미지를 생각해도 그렇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작품에서는 그 문제에 관해 굉장히 재미있는 것들을 자주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나 이번에는 포스터에 등장을 한 만큼 다양한 기기들이 동시에 등장을 하는데, 이 부분이 영화 내에서는 대부분의 스펙터클을 담당하는 것과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덕분에 그 재미를 불어넣는 데에 있어서 가장 좋은 힘을 보여주죠. 게다가 이 특성은 최근의 속도감이 제대로 들어가 있는 그런 에너지를 영화에서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영화를 보는 재미 역시 배가 되고 있고 말입니다.

 
3D라는 면모 역시 굉장히 잘 해결이 되어 있습니다. 이 영화에서 보여주는 3D는 굉장히 강렬한 것으로, 영화가 무엇을 보여줘야 하는가와 입체감이 어떻게 형성이 되는가 하는 점에 있어서 영화 자체를 굉장히 매끄럽게 구성을 하고 있는 점이 돋보인다고 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영화의 재미를 배가시켜주는 3D라는 말을 할 수 있을 만큼은 됩니다. (다만 전 별로였습니다. 아시다시피, 이건 영화의 문제라기 보다는 제 신체의 한계였습니다. 이 문제만큼은 해결 불가더군요.)

 
전체적으로 봤을 때, 이번에는 적어도 어벤져스2의 예고편이라 폄하할 수 있는 작품은 아닙니다. 전반적으로 매끄러운 진행과 영화적인 재미, 그리고 기존에 가지고 있던 아이언맨과 토니 스타크의 매력, 그리고 새로운 이야기의 모든 매력이 평균 이상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 꽤 즐겁게 볼 수 있는 영화라고 생각이 됩니다. 물론 기존의 슈퍼히어로가 가지고 있는 스타일을 아이언맨에 맞게 다시 변형한 에너지 역시 영화에 소소한 재미를 더 추가해 주고 있기도 하고 말입니다.

덧글

  • 열혈 2013/04/28 12:32 #

    배우가 달라지긴 했지만 헐크도 어벤져스 나오기 전에 2편 나오지 않았나요? 실패하긴 했지만...
  • 동굴아저씨 2013/04/28 13:33 #

    헐크랑 인크레더블 헐크는 다른거 아니었나요?
    주인공은 헐크지만...
  • 에규데라즈 2013/04/28 21:27 #

    둘 다 헐크 맞.....는데 리붓 두번................이지 말입니다...
  • 잠본이 2013/05/04 21:45 #

    이안 감독의 헐크는 유니버설에서 제작했기 때문에 원작은 같지만 계열이 다르고
    마블 스튜디오가 아이언맨과 같은 식으로 직접 제작하게 된 것은 인크레더블 헐크 때부터입니다.
    사실상 다른 시리즈죠.
  • 포스21 2013/04/28 17:56 #

    오늘 감상했습니다. 실망시키지 않는 멋진 영화였습니다.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예스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