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트 오브 더 씨 - 전반의 강렬함, 후반의 늘어짐 횡설수설 영화리뷰

 이 영화도 드디어 개봉의 때를 잡았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영화에 관해서는 정말 초반부터 상당한 기대를 걸고 있었던 기억이 납니다. 다른 것보다도 이 영화의 분위기도 그렇고 감독도 그렇고 기대를 할만한 측면이 매우 강한 사람들이었기 때문입니다. 그 덕분에 이제나 저제나 하고 있는 상황이었죠. 솔직히 개봉의 때가 되고 보니 개봉하는 주간에는 정말 좋은 영화들이 모이는 묘한 주간이 되기도 했습니다. 이 영화가 그 중에서는 가장 덩치가 크죠.

 그럼 리뷰 시작합니다.






 이 영화이 감독인 론 하워드에 관해서는 아무래도 많은 분들이 다빈치 코드 시리즈의 감독으로 좀 더 많이 기억하고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실제로 다빈치 코드와 그 속편인 (소설 순서로는 프리퀄이지만 말이죠.) 천사와 악마까지 이미 만든 감독이고, 현재 인페르노까지도 모두 영화화 작업을 밟고 있는 감독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늘어놓은 작품 만으로 이야기를 하기에는 조금 아쉬운 면들이 있는 것이 사실이기는 합니다.

 다른 것 보다도 국내에 개봉한 작품중에서 정말 괜찮은 작품들이 꽤 있기 대문입니다. 가장 최근에 개봉한 작품인 러시 : 더 라이벌 같은 작품은 정말 영화적으로 상당한 완성도를 자랑하고 있는 물건이기 때문입니다. F1에 관해 다루면서 사람들의 경쟁심리, 그리고 엄청난 에너지를 매우 잘 보여준 적이 있는 감독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 이전에도 매우 좋은 작품들을 매우 많이 만든 바 있는 감독이기도 합니다.

 일단 그 이전에는 그냥 잊혀져 버린 작품중 하나이기는 하지만 절대로 그냥 넘어가기 힘든 작품중 하나인 프로스트 VS 닉슨 이라는 작품도 이 감독 손에서 탄생한 바 있습니다. 신데렐라 맨, 뷰티풀 마인드, 랜섬, 아폴로 13, 파 앤드 어웨이, 분노의 역류 같은 작품들을 정말 줄줄이 만든 감독이죠. 물론 그 사이에 그린치 같은 해괴한 실사 영화가 간간히 끼어 있는 것도 사실이기는 하지만 말입니다. 아무튼간에 능력에 관해서 그개도 꽤 신뢰 받을만한 감독인 것은 분명합니다.

 다만 배우진 역시 정말 기대를 하게 만든 것이 사실입니다. 다만 이 영화에 관해서 기대를 크게 하게 만든 배우는 킬리언 머피 때문입니다. 트랜센던스나 레드라이트 같은 이상한 영화들에도 나오기는 했습니다만, 배트맨 3부작에서도 그럭저럭 괜찮은 못브을 보여줬고, 인타임이라는 평범한 영화에서도 혼자 열심히 연기 하는 배우였었기 때문입니다. 그 이전에는 선사얀과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에서 매우 좋은 연기를 보여준 적도 있는 배우이기도 하고 말입니다.

 그렇다고 크리스 헴스워스가 아무 기대도 할 수 없는 배우라는 것은 절대로 아닙니다. 국내에서는 토르 역할로 많이 알려지기는 했습니다만, 같은 감독과 호흡을 맞췄던 러시 : 더 라이벌에서 매우 좋은 모습을 보여준 적도 있기 때문입니다. 캐빈 인 더 우즈에서도 상당히 재미있는 역할을 해 본 적도 있고 말입니다. 다만 레드 던 같은 영화는 좀 참아주기 힘든 면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기는 합니다. (레드 던은 리메이크작으로, 청년들이 북한군 때려잡는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벤 위쇼 역시 이 영화에 이름을 올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저는 이 배우를 기억하게 된 계기가 아임 낫 데어에서의 짧지만 강렬한 연기 덕분이기는 했습니다만, 그 이전에 향수 라는 영화에서도 매우 좋은 연기를 보옂누 바 있는 배우이기도 합니다. 물론 최근에는 007의 새 시리즈에서 Q 역할을 꿰차면서 그쪽으로 유명해진 면도 있기는 하지만 말입니다. 국내에서 개봉하지 않은 영화중에는 텅 빈 왕관이라는 영화도 있는 상황이기도 하고 말이죠. 얼마 전에는 더 랍스터에 나와서 꽤 재미있는 연기를 보여준 바 있는 배우이기도 합니다. 덕분에 영화를 상당히 즐겁게 볼 수 있었죠.

 결국에는 이 영화 역시 상당한 기대를 하게 만드는 영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예고편으로 먼저 접했을 때 거대한 고래의 스케일을 매우 강하게 보여줄 거라는 믿음과 함께 영화의 감독이 이런 스테일도 상당히 잘 다룰 수 있을 거라는 생각도 들었고, 동시에 배우들 역시 영화의 모든 것들을 떠받치려고 상당한 노력을 기울일 거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이 덕분에 영화가 상당한 에너지를 발휘할 거라는 생각도 들었죠.

 이 영화는 에식스 호라는 배에 탄 선원들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참고로 이 배는 모비 딕이라는 책과 관계가 되어 있죠. 허먼 멜빌은 94일간 표휴했다가 살아남은 8명중 한 명을 만납니다. 그리고 에식스 호 이야기를 듣게 되죠. 이 배는 포경선으로 고래를 사냥하기 위해서 돌아다니게 됩니다. 하지만 남태평양 한가운데에서 길이 30m에 무게 80톤의 향유고래에게 공격 당하며 침몰하게 되죠. 이 상황으로 인해 망망대해를 떠돌게 된 선원들이 살아남기 위해서 정말 생고생 하는 이야기가 이 영화의 줄거리입니다.

 이번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솔직히 고래잡이는 아닙니다. 고래를 잡는 사람들의 이야기 이고, 그 고래와의 사투라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기는 하지만, 이 영화가 좀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그것도 바다에서 정말 생으로 고생하는 사람들 말입니다. 그리고 이 사람들의 이야기는 기본적으로 탐욕이라는 부분과, 그 탐욕으로 인해 자연의 공격을 받고 그 이후 일을 정말 심하게 겪게 된 사람들의 이야기가 좀 더 중요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설명을 그렇게 한다고 하더라도 좀 더 중요하게 생각될 수 밖에 없는 것은 역시나 고래를 잡고, 특정한 고래와 대결하는 이야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영화에 관해서 아무래도 국내에서는 모비딕 이라는 정말 걸출한 소설과, 그 소설처럼 고래와 전쟁을 치루는 이야기처럼 관객에게 홍보가 되었으니 말입니다. 실제로 제가 기대한 것 역시 고래와의 사투라는 지점이기도 합니다. 이 영화가 그 재미를 얼마나 잘 살려줄 것인지가 정말 중요하게 다가오 수 밖에 없었던 것이죠.

 솔직히 영화의 초반부는 그 특성에 부합하는 면이 있었던 것도 사실입니다. 주인공은 선장이 되고싶어 하지만, 일단은 일등 항해사로서 배를 지휘하고, 선주들의 이익을 위해서 고래를 사냥해야 하는 사람입니다. 영화의 초반부에는 그 사람의 인간적인 면과, 직업적인 프로페셔널이라는 것을 같이 보여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영화가 보여주고 있는 인물의 모습은 상당히 단단한 것으로, 영화의 재미를 살리는 데에 상당히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이 사람에 관해서는 일단 따로 설명하는 사람이 있는 상황입니다. 아무래도 액자형이기 때문에 이 영화가 보여줘야 하는 것들에 관해서 한 번 거른다는 느낌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죠. 다만 이 화자는 본 이야기의 중심에 서 있는 사람은 아닙니다. 그 문제는 크게 중요한 것은 아니죠. 다만, 이 영화의 흐름을 만들어 내는 데에는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그 이야기는 좀 더 있다가 하도록 하고, 화자가 전달하는 본래 이야기에 관해서 좀 더 이야기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본래 이야기 속의 사람들은 소위 말 하는 거친 사람들이며, 먹고 사는 데에 자신의 터프함이 필수적인 사람이기도 합니다. 특히나 이야기의 중심에 선 인물은 여기에 야심도 같이 끼어 있는 사람이기도 하죠. 이 사람의 야심을 가로막는 것은 초반에는 또 다른 주역이라고 할 수 있죠 이 두 사람의 심리는 상당히 기묘한 욕심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결국에는 그 가로막는 장애물 역시 상당한 야심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이 영화에서 두 캐릭터는 초반에는 매우 좋은 설계를 보여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 둘의 캐릭터는 기본적으로 초반부터 상당히 다양한 면들을 가져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그들이 지금 하고 있는 일들은 자신들의 욕망을 채워주기 위한 것들이기도 하죠. 두 사람은 자신들의 충돌에 관해서는 아무래도 에너지로 사용을 하고 있다고 말 하는 것이 더 좋을 듯한 모습을 가져가고 있기도 합니다. 이 영화는 결국 충돌의 에너지 역시 상당히 잘 이용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가 된 것이죠.

 영화가 가져가는 것들에 관해서 중반까지는 이 에너지를 매우 확실히, 그리고 매우 매력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영화가 가져가는 것들에 관해서 바다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인생사를 이야기 하는 동시에, 이 바다가 주는 것들들에 관해서 영화가 매우 훌륭하게 결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 덕분에 고래를 잡으러 돌아다니는 중반까지는 그래도 나름대로 재미있다고 말 할 수 있는 상황이죠. 게다가 고래를 처음 잡을 때 까지는 그 에너지가 만개하고 있기도 하고 말입니다.

 하지만, 이 고래 사냥 사업이 내리막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지점부터는 영화가 약간 느려지기 시작합니다. 영화가 방향이 틀어졌다고 말 할 수는 없습니다. 영화가 초반부터 보여주고 있는 부붙들 중에서는 이 문제에 관해서 이미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특성은 의외로 이야기 바깥, 그러니까 이 영화의 액자 바깥을 형성하고 있는 사람들이 이 영화의 파국을 이미 예고 하고 있기 때문에 영화의 재미를 살리는 데에 매우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상황이죠.

 하지만 이 영화의 기본적인 이야기가 점점 더 자연의 힘을 이야기 하는 순간부터, 그리고 이에 관해서 현실과 극의 경계 사이를 이야기 하는 상황인데, 이 사이에서 물직함을 강조 하는 사이에 정작 영화가 에너지를 버리고 가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 할 수 있습니다. 이 영화가 에너지를 직접적으로 잃어가고 있는 부분이 바로 이 지점이라고 할 수 있죠. 영화가 본격적으로 고래와의 사투가 벌어지고 난 후, 자연의 압도적인 면과 인간의 비정함을 강조하는 순간부터 영화가 흔들리기 시작한 겁니다.

 이 부분부터는 영화가 점점 더 느려지기 시작합니다. 솔직히 영화가 가져가야 하는 묵직함이라는 것에 관해서 감정이 아무래도 너무 직접적으로 들어가고 있다고 말 할 수 있는 상황이 되어버린 겁니다. 이 영화가 보여줘야 하는 것들에 관해서 방향을 조금 묘하게 잡고 있고, 심지어는 보여주는 방식에 관해서 초반에 너무 많은 것들을 보여주고 있는 상황이 된 겁니다. 하지만, 이 지점에 관해서 초반의 이야기 방식으로 밀어붙여서는 오히려 방향을 잃을 수 밖에 없었던 것이죠.

 이 지점에서도 사람들의 감정이 상당히 강하게 나오는 상황입니다. 이 감정은 기본적으로 초반에 설정된 부분들이 있기 때문에 이 지점들은 정말 절절하게 자연의 강렬함을 살리는 데에 매우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상황이죠. 이 영화의 재미는 그 속에서 매우 잘 살려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 지점은 흐름과 상다잏 다른 부분들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죠. 제가 지금 문제 삼고 있는 것은 아무래도 그 흐름에 대한 부분도 상당하고 말입니다.

 대신 감정은 매우 크게 다가오는 편입니다. 영화가 보여주고 있는 감정은 전반의 감정과 후반의 감정이 같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만, 두 구조는 상당히 상호 보완적인 면모를 보여주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영화의 재미를 살리는 데에는 그래도 나름대로의 재미를 이야기 할 수 있는 상황이 된 겁니다. 이 영화가 보여줘야 하는 것들에 관해서 과연 감정이 얼마나 강한가에 좀 더 중점을 줬다고나 할까요. 물론 어느 정도 심하게 분리 되어 있기 때문에 한계가 있는 것은 사실이기는 합니다.

 이 이야기가 액자구조라는 것들에 관해서 흐름이 흔들리는 것도 있을 수 있는가 하는 것이 이 영화의 문제를 이야기 할 수 있기도 합니다. 이 영화는 영화에서 보여주는 감정들을 정리하는 지점에서 회상에서 빠져나오는 지점을 사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 지점은 그래도 관객에게 필요한 시점에서, 그리고 그 회상을 하는 사람들 역시 나름대로 감정적으로 정리를 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매우 좋게 이야기 할 수 있는 지점입니다. 흐름이 그렇게 크게 흔들리지 않는다는 것 역시 괜찮다고 이야기 할 수 있죠.

 이 모든 것들을 보여주는 화면은 매우 강렬합니다. 솔직히 이 영화는 어딘가 묘한 화면 구도와 색감, 그리고 이미지를 가져가고 있기도 하지만, 이 구조적인 특성은 기본적으로 감정을 매우 강하게 전달하려고 하는 영화라고 생각해본다고 한다면, 그래도 나쁘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영화가 현장감을 살리는 데에 있어서, 그리고 규모 감각을 살리는 데에 있어서 약간 아쉬운 점이 있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사실이기는 합니다.

 결론적으로, 전반부는 꽤 볼만하지만, 후반부의 에너지는 좀 떨어지는 영화입니다. 전반부의 강렬함이 뒤에 갈수록 감정으로만 진행이 되면서 점점 더 희석되는 느낌이 들고, 이런 상황의 반복으로 인하여 영화가 결국 늘어지는 느낌을 주게 됩니다. 아무래도 감독의 명성에 비하면 조금 아쉬운 영화이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아주 못 만든 영화는 아니기 때문에 시간 때우기용으로 생각 하고 보신다면 그렇게 나쁜 영화는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예스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