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키퍼스 와이프 - 평범하지만 그래도 울림이 있는 영화 횡설수설 영화리뷰

 이 영화도 결국 개봉 일정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사실 좀 놀랐습니다. 아무래도 워낙에 좀 된 영화이다 보니 개봉 못 할 거라고 생각을 했었던 작품이기도 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결국에는 리스트에 올라온 상황이 되었고, 개봉을 할 거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이로 인해서 이번 영화를 어느 정도 기대를 하는 상황이 되기도 했죠. 물론 이 리뷰가 올라가게 되면 가라 개봉도 아니라는 이야기도 됩니다.

 그럼 리뷰 시작합니다.






 이 영화에 관해서 제가 선택하게 된 이유는 사실 감독 보다는 배우 때문입니다. 이 영화에서 주인공을 맡게 된 사람이 바로 제시카 차스테인이기 때문입니다. 제시카 차스테인은 이 영화 이전에 이미 다양한 영화에 출연해서 매우 좋은 모습을 보여준 바 있습니다. 트리 오브 라이프에서도 절제된 연기로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줬고, 이후에 헬프나 로우리스 같은 영화에섣 좋은 연기를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제로 다크 서티에서는 정말 무시무시할 정도의 에너지를 보여주기도 했고 말입니다. 심지어는 미스 슬로운에서는 영화 전체를 가지고 노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고 말입니다.

 이쯤 되면 아주 망한 영화들이 없다고 말 하고 싶기는 하지만, 크림슨 피크라는 나름 열심히 만들긴 했지만 시대 착오적인 느낌을 꽤 많이 주는 영화나 백설공주와 사냥꾼의 이후 작품인 헌츠맨 : 윈터스 워 라는 홀랑 망한 작품에 나와서 정말 연기 아닌 연기를 해버리기도 햇습니다. 사실 이 영화들에 관해서 연기의 척도라고 보기에는 힘들다고 생각하는 이유가, 배우가 편한 데에 출연하겠다는 혐의가 좀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외의 영화들 대다수가 너무나도 괜찮았다는 점이 그 의심을 강하게 만들기도 했고 말입니다.

 다니엘 브륄 역시 이 영화에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 최근에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에서 제모 역할을 하면서 정말 성공적인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만, 그 이전에도 정말 좋은 못브을 많이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모스트 원티드 맨에서는 비중이 그렇게 높지는 않앗습니다만 영화에 필요한 부분으 ㄹ제대로 이끌어 내기도 했으며, 우먼 인 골드에서도 꽤 괜찮은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죠. 그리고 그 이전에는 러시 : 더 라이벌에서 영화를 이끌어 가는 에너지를 아예 가져가기도 했고 말입니다. 간단하게 말 해서 영화가 망한 경우가 아니라면 그래도 연기면에서 망한 경우는 거의 보여주지 않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감독인 니키 카로가 신인이라고 말 할 수는 없습니다. 이미 좋은 영화를 만든 감독이기 때문이죠. 두 영화가 있었는데, 바로 웨일 라이더와 노스 컨츄리 라는 영화입니다. 우 영화 모두 여성의 심리를 다루면서도 매우 강렬한 이야기를 진행하는 모습을 보여준 바 있습니다. 노스 컨츄리의 경우에는 샤를리즈 테론이 정말 슬픈 역할을 하면서도 의외로 강렬한 면들을 잘 끄집어 내기도 햇고 말입니다. 이후에도 꽤 많은 영화들을 만들었고 영화 평가들이 다들 나쁘지 않은 편입니다. 다만 국내 개봉이 잘 되지 않는 편이기는 하죠.

 배우로 돌아오면 일단 요한 헬덴베르크 라는 배우가 있습니다. 사실 이 배우에 관해서는 할 말이 많지 않기는 한데, 최근에 이웃집에 신이 산다 라는 작품에서 조연으로 나왔다는 것 외에는 할 말이 별로 없었기 때문입니다. 이 외에 브로큰 서클 같은 영화도 있기는 한데, 이 영화는 정말 손이 안 간 상황이기도 하고 말입니다. 상황이 상황인 만큼 좀 걱정이 되는 면들도 있다는 점이 있었던 것이기도 하고 말입니다.

 사실 배우에 관해서는 할 말이 여기까지밖에 없습니다. 이 영화에서 티모시 레드포드나 에프라드 도르, 쉬라 하스 같은 배우들이 줄줄이 있는 상황이기는 한데, 솔직히 그다지 할 말이 많은 배우들은 아닙니다. 그나마 일부 배우는 아는영화에 출연한 적이 있기는 한데, 그 배우들 역시 사실상 제가 할 말이 많지 않기도 합니다. 일단 그래도 내증도 있는 배우들이지만, 그다지 유명세를 많이 탄 사람들은 아닐고 정리 해야 할 듯 하네요.

 아무튼간에, 이 영화를 보게 된 이유는 간단합니다. 결국에는 제시카 차스테인이 얼마나 영화를 살려낼 것인가 하는 것이 이 영화에 관한 기대를 만들어 낸 것이죠. 이 외에는 사실상 영화에 관해서 제가 기대를 할만한 지점이 그다지 많지 않은 상황이기도 합니다. 그나마 다니엘 브륄 정도가 있기는 하지만, 아무래도 영화 전체를 아우를 배우는 제시카 차스테인이 될 거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 상황이고 말입니다.

 이번 이야기는 2차대전 시기의 폴란드 바르샤바가 배경입니다. 동물원을 운영하던 안토니나 라는 여성이 중심이 됩니다. 이 상황에서 동물원 경영은 점점 상태가 나빠져가고, 이런 상황에서 유태인을 동물원에 숨겨주기까지 합니다. 동물들은 점점 줄어가고, 그 대신에 유태인들이 줄줄이 이 동네에 오게 되죠. 그리고 이런 상황에서 독일군들은 점점 이 동네에 오게 됩니다. 결국에는 점점 위기감이 고조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고 있죠.

 이 영화가 가져가는 이야기는 실화를 기반으로 하는 이야기입니다. 그것도 매우 유명한 실화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이야기이죠. 2차대전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이해하는 데에 아주 어려운 면들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영화가 가져가는 이야기는 2차대전 시기에 유태인을 학살하는 이야기와 연결 되어 있으며, 영화는 그런 학살을 막기 위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동물원을 운영했었던 사람의 이야기죠.

 영화가 다루는 배경은 말 그대로 유태인이라면 살아남는 것 자체가 문제인 상황이기 때문에, 그리고 그런 사람들에 관해서 불쌍하게 여기거나, 아니면 말 그대로 인간애로 뭉친 사람이라면 나름대로 생각하게 될 면들이 있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독일이 지배하는 폴란드에서 어떻게 하건 유태인을 살려야 하는 상황이며, 이에 관해서 영화는 일정한 지점을 가져가고 있기도 합니다. 이 영화는 그러한 인간적인 면을 가져가고 있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사람은 자신이 가진 것이 있는 상황입니다. 거대한 땅을 가지고 있으며, 사람들을 슬슬 숨겨줄 수 있는 상황이 되어가고 있죠. 다만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자신이 가진 자산을 줄여야 하는 면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그 자산이라는 것은 결국 동물원의 동물들이죠. 그리고 동물원 부지를 나름대로 이용하려고 하는 독일 군인들 역시 어느 정도는 막아야 하는 상황이기도 하고 말입니다. 이 영화가 보여주는 이야기는 그 사이에서 줄타기 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죠.

 영화가 보여주는 이야기가 가장 애매하게 다가오는 부분이라고 한다면 결국에는 이 영화가 과연 실화의 무게만을 이용하려고 하는 영화인가 하는 점입니다. 분명 무척 무시무시한 세계를 살아가던 사람들의 이야기이고, 여기에서 나오는 인간 드라마는 확실히 영화에 맞는 이야기이기는 합니다만, 이를 얼마나 매력적으로 가져가는가는 결국 영화를 어떻게 구성하는가가 더 중요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죠. 결국에는 어떻게 길을 구성하는가가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화가 보여주는 이야기는 그래도 실화의 힘만 가지고 관객들을 울리려고 하거나, 아니면 실화 무게에 짓눌려서 영화로서의 에너지를 전혀 발휘하지 못하는 케이스는 아닙니다. 영화가 보여주는 이야기가 기본적으로 실화의 에너지를 가져가고 있는 상황이기는 하지만, 이를 가지고 영화에 맞게 어떻게 보여줘야 하는지에 관해서 이야기를 가져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영화가 결국에는 각색을 통해 스토리를 극영화에 맞게 구성하는 데에 성공한 것이죠.

 각색이라는 분야가 어려운 것은, 특히나 실화를 기반으로 하는 이야기일 경우에는 영화가 보여주는 이야기를 가져가는 데에 시간을 쓰면서 이를 관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지점을 보여주려고 하는 지점들이 있어야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영화가 실화가 가진 이야기를 극에 맞게 구성하는 데에 시간을 너무 많이 써서 오히려 영화가 제 방향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는 것은 막아야 한다는 겁니다. 이 영화는 그래도 두 가지고 모두 다 막아 내는 데에 성공했죠.

 영화가 해당 문제를 가장 확실하게 해결하는 것은 역시나 이 영화가 가져가는 이야기에 나오는 캐릭터에 상당히 강한 힘을 싣고 있다는 겁니다. 특히나 이 영화의 여주인공인 안토니나 자빈스카가 하는 행동과 그녀가 하는 여러 가지 문제들에 관해서 영화가 이야기를 하는 상황이 되죠. 이 영화는 아무래도 이 캐릭터가 가진 이야기가 매우 중요한 상황이기 때문에 영화의 특성을 이 사람에게 상당히 많이 부여하고 있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안토니나는 앞서 말 했듯이 나름대로의 자산이 있는 사람으로, 굉장히 명석하면서도 인간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런 문제에 관해서 시험대에 오를 만한 순간이 전쟁으로 인해 오게 됩니다. 영화는 이런 상황에서 그녀가 어떤 행보를 보이는가를 정말 중요하게 보여줍니다. 그리고 영화의 긴장감이 이 사람이 겪는 일과 내놓는 해법과 관계가 있는 상황이 됩니다. 영화는 해당 관계를 영화의 흐름에 맞게 풀어내는 데에 상당한 시간을 들였습니다.

 영화에서는 정말 여러 가지 일들이 벌어지게 됩니다. 영화에서 모든 상황들은 결국 인간이 점점 더 인간답지 못하게 변하는 상황이 되어버리는데, 해당 과정으로 인해서 영화가 보여주는 상황들은 주인공이 점점 더 인간적인 면을 넘어가는 면들을 보여주게 됩니다. 영화는 이 과정으에서 보여주는 이야기에 관하여 상당히 단일한 이야기 구조를 가져가고 있습니다 .물론 영화에서 대부분의 긴장은 결국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역시 이야기 하는 상황이 되기도 하는 것이죠.

 영화에서 보여주는 다른 사람들은 주인공이 해결해야 하는 사람이거나, 곁에 있어 줘야 하는 사람이거나, 아니면 정말 도와줘야 하는 사람들입니다. 이 사람들은 서로 다른 문제를 주인공에게 부여하게 됩니다. 이런 기능적인 특성을 발휘함으로 해서 영화의 방향을 구성하고, 주인공이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관객에게 보여주는 촉발제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 과정 덕분에 영화가 보여주는 대부분의 일들은 상당히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상황이 되기도 합니다. 영화에서 보여주는 캐릭터들이 기능적으로만 가지 않고 있다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한 지점이기도 하고 말입니다.

 영화에서 보여주는 주변 캐릭터들은 각자 나름의 성격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 성격적인 특성으로 인해서 영화가 보여주는 사건들이 시작되기도 합니다. 이 과정에서 성격은 결국 사건의 처음 방향을 설정하게 되고, 그 방향으로 인해 관객들이 일이 어디로 가게 될 것인가 하는 호기심을 가져가게 됩니다. 그리고 주인공이 이를 받아들이면서 영화의 이야기를 진행하게 되는 것이죠. 이런 과정으로 인해서 영화가 하나의 거대한 사이클을 형성하게 됩니다.

 약간 재미있는 것은 제가 이야기가 굉장히 단일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이야기 했습니다만 상황의 특성으로 인해서 영화가 대단히 복합적으로 보이기도 한다는 사실입니다. 영화가 기본적으로 한 사람이 진행하는 한 거대한 이야기라고 볼 수 있는 구성을 가져갔지만, 각자의 배치에 관해서 영화가 가져가는 세밀한 요소들은 결국 서로 분리된 특성을 가져가고 있는 겁니다. 이를 하나로 연결하는 데에는 감정적인 지점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이고 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전반적인 흐름은 사실 그렇게 빠른 편은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대화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상황이고, 이에 관해서 영화가 일정한 특성을 가져가는 상황이 되었으니 말이죠. 이 영화의 재미는 결국에는 이 상황에서 은연중 들어가는 감정의 강렬함을 즐기는 동시에, 영화가 흐름에서 보여주고자 하는 인간의 여러 가지 면들을 모두 이야기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영화의 매력을 이야기 할 수 있게 되었죠.

 다만 영화의 영상은 그다지 특별하다고 말 할 만한 구석이 많은 편은 아닙니다. 이 영화가 가져가고자 하는 지점들에 관해서 잘 잡아 내는 면들을 보여주고 있기는 합니다만, 이 영화가 가져가고자 하는 지점을 시각적으로 멋지게 표현하려고 한다거나, 아니면 미술적인 특성을 새로 발휘하는 면들이 강하지는 않은 상황입니다. 이 문제로 인해서 영화가 사실상 보는 재미가 아주 강하다고는 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죠.

 배우들의 연기는 나쁘지 않습니다. 특히나 이 영화에서 제시카 차스테인은 자신이 맡은 역할에 관해서 정말 멋지게 소화를 해 내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모든 면에서 강인하다기 보다는, 말 그대로 인간의 푸근함을 동시에 가졌기에 더더욱 강해지는 사람을 연기 하고 있죠. 다니엘 브륄은 그런 그녀의 지적인 면에 더 끌리는 면을 가져가고 있는 상황이죠. 이 외의 배우들 역시 비슷한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는 면을 가져가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영화가 보여주려고 하는 것들에 관해서 캐릭터의 면들로 정리 함으로 인하여 성공한 케이스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영화 전반적으로 현실에서 벌어졌던 일들에 관한 울림을 극적으로 관객에게 전달하는 데에도 성공했다고 할 수 있죠. 덕분에 볼만한 영화라고 말 할 수는 있습니다. 다만 이런 스타일의 영화가 그다지 적은 것도 아니고, 이 영화가 아주 특출나게 나왔다고 말 하기에는 아쉬운 면들을 가지고 있기에 아무래도 필관람작이라고 말 하기에는 약간 애매하네요.



예스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