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의 묘지 - 공포의 정석과 기본기를 모두 갖춘 작품 횡설수설 영화리뷰

 드디어 이 영화가 개봉일정을 잡았습니다. 개인적으로 무척 궁금한 영화인 데다가, 아무래도 원작을 너무 재미있게 읽은 판이다 보니 아무래도 이 영화를 그냥 넘어갈 수 없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다만 상황이 상황이다 보니 아무래도 이 주간은 정말 공포영화로 싹 넘어가 버릴 판이기는 해서 말입니다. 사실 이 영화 외의 공포물의 경우에는 상황이 좀 미묘하게 다가오는 상황이다 보니 이거만 볼까 하다가 그래도 일단 다 보기로 했습니다.

 그럼 리뷰 시작합니다.







 솔직히 제가 이 영화를 선택한 이유는 이 영화의 원작이 바로 스티븐 킹의 작품이기 때문입니다. 스티븐 킹의 소설중에 최근에는 스릴러의 비율이 상당히 높아지기는 했습니다만, 이 작품은 아예 초기 공포 소설중 걸작으로 통하는 작품이기도 했으니 말입니다. 스티븐 킹의 소설이 다 괜찮다고는 할 수 없긴 합니다. 셀 같이 어딘가 허술한 작품도 있으니 말입니다. 하지만 이 작품은 이미 걸작 반열에 든 원작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피해갈 수 없는 상황이 된 것이죠. 제가 스티븐 킹 작품을 사모으고 있기도 하고 말입니다.

 물론 이 상황에서, 그렇다면 과거 이미 나온 매리 램버트 감독의 공포의 묘지를 볼 생각은 안 하는 거냐 라는 말을 하실 분들도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사실 그 작품도 보고 싶기는 한데, 제가 최근 절실히 느끼는 거지만 아직까지는 공포영화에 제가 매우 약한 사람이라서 말이죠. 굳이 옛날 공포 영화를 봐야 하는가 하는 점에서 얼마 전 할로윈을 보고 굳이 그럴 필요 없겠다 라는 생각을 한 상황이기도 하고 말입니다.

 어쨌거나, 이번 영화의 감독은 두 사람입니다. 케빈 콜쉬와 데니스 위드미어 라는 사람이죠. 불안하게도 케빈 콜쉬는 제가 아는 작품이 전혀 없습니다. 이 작품 이외에 두 작품이 더 올라와 있는데, 오디션 이라는 작품과 홀리데이즈 라는 작품이었습ㅈ니다. 사실 두 작품 모두 제가 본 적은 없는데, 보신 분들에 의하면 그다지 매력적이지는 않고, 당대에 유행하던 스타일을 거의 그대로 답습한 적당히 나온 영화 정도라는 이야기를 하셨습니다.

 다른 감독인 데니스 위드미어 역시 같은 작품을 작업한 바 있습니다. 사실 두 작품을 같이 한 사람들이죠. 심지어는 각본도 자신이 직접 썼고 말입니다. 게다가 두 작품 모두 감독과 각본을 한 상황이다 보니 상황이 미묘하게 다가오기도 하고 말입니다. 그나마 커튼 이라는 단편을 한 적이 있다고는 하고, 그 단편의 평가가 나쁘지 않기는 한데, 솔직히 단편과 장편은 호흡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단편 좋다고 장편까지 잘 하리라고는 생각 할 수 없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래도 배우는 의외로 나쁘지 않은 편입니다. 일단 아버지 역할이자 가장 중심에 선 배우는 제이슨 클락 이라는 배우입니다. 최근에 정말 좋은 영화에 출연 함으로 해서 제가 미묘하게 생각하지 않는 데 까지 온 배우이기도 합니다. 특히나 최근에 퍼스트맨에서 에드워드 화이트 역할을 하면서 의외로 나쁘지 않은 연기를 하기도 했고 말입니다. 혹성탈출 : 반격의 시작에서도 상당히 좋은 연기를 한 바 있기도 하고 말입니다.

 다만 필모그래피가 아주 고르다고 말 하기에는 미묘한 배우이긴 합니다. 터미네이터 제니시스에서 존 코너 역할과 악역을 하면서 나름 좋은 연기를 보여준다고 하긴 하는데, 그렇다고 영화가 아주 좋다고 말 하기에는 아무래도 미묘한 상황이었으니 말입니다. 게다가 나이트 오브 컵스에서 보여준 연기는 나쁘지는 않았는데, 영화 자체가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었고 말입니다. 게다가 초기에 몇몇 영화들의 경우에는 좋다고 하기 힘든 연기를 보여준 적도 있구요.

 존 리스고는 개인적으로 덱스터에서 나왔던 역할 덕분에 정말 확실하게 기억하고 있는 배우이기도 합니다. 당시에 덱스터 시리즈가 정말 가장 날리던 시절이었는데, 착한 사람인 척 하면서도 정말 무시무시한 살인마로서의 모습을 매우 확실하게 보여주는 데에 성공했기 때문입니다. 덕분에 이후에 나온 혹성탈출의 착하지만 치매에 시달리는 아버지나, 인터스텔라의 역할들을 보고 있을 때 약간 적응 하기 힘들었던 것도 사실입니다.

 에이미 세이메츠의 경우에는 좀 미묘하긴 합니다. 그나마 제가 제대로 기억하는 작품이 에이리언 : 커버넌트인데, 이 영화의 경우에는 다른 배우가 더 강렬하게 나왔던 상황이다 보니 솔직히 좀 뭍히는 경향이 있기는 했습니다. 심지어 그 이전으로 넘아가게 되면 주로 작은 영화나, 아니면 저예산 대충 만드는 영화에 이름을 올리는 경우도 상당히 많았던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도 유 아 넥스트에서 에이미 역할을 찰지게 소화한 기억은 나네요.

 이 영화는 소설의 이야기를 베이스로 해서 진행 됩니다. 크리드 집안이 이사를 오게 되는데, 이 집의 앞에는 커다란 트럭들이 무서운 속도로 지나다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딸이 결국 문제의 트럭에 치이는 상황이 되어버리죠. 슬퍼하는 가족에게 이웃에 사는 크랜들이라는 사람이 애완동물 공동묘지 라는 곳을 설명 해주게 됩니다. 이 묘지에 뭍으면 살아 돌아온다는 이야기죠. 하지만 그렇게 살아돌아오게 된 존재는 더 이상 알던 존재가 아니게 된다는 사실도 알려주게 됩니다. 영화는 이런 상황에서 진행 됩니다.

본격적인 리뷰를 시작하기 전에 한 가지 미리 말씀 드리고 가야 할 듯 합니다. 저는 원작은 읽은 상태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과거에 만들었던 영화 작품을 본 것은 아니죠. 쉽게 말 해서 이전 영화와의 비교는 전혀 불가능한 상태라는 이야기입니다. 사실 과거 작품의 경우에는 아무래도 미묘하다는 평가가 좀 있는 터라, 아무래도 손이 안 가는 상황이기는 했습니다. 어쨌거나 제가 이 영화를 선택한 이유는 원작때문이기도 해서 아무래도 미묘하긴 합니다.

 원작은 공포 소설 그 자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야기가 어떻게 진행될지 뻔히 다 보이는 구조를 가져가고 있지만, 그 뻔한 이야기를 어느 타이밍에, 어떤 구조로 진전시킬지 궁금한 상황이 되는 것이죠 사실상 이 영화가 가져가는 재미도 비슷한 지점에서 가져갈 거라고 생각한 상황이기는 합니다. 덕분에 사실 맘 편하게 보기에는 미묘한 이야기라고 말 할 수는 없는 상황이긴 하죠. 아무튼간에, 이 영화에 관해서 기대하는 바도 굉자잏 뻔하기는 합니다.

  스티븐 킹의 최근 작품들은 대단히 멋지게 잘 나오기는 했습니다. 그것부터 시작해서 드라마로 넘어간 미스터 메르세데스 같은 작품까지 모두 잘 나온 것이죠. 하지만 그 이전에 매력적이라고 할 수 없는 영화들이 꽤 많기도 했습니다. 책이 가져가는 강렬한 지점들을 가지고 영화를 만들기는 했는데, 문제는 그 지점들만 믿고 간 나머지, 정작 영화적인 구성은 아무래도 한계를 강하게 드러내버리는 상황이 된 겁니다. 결국에는 각색에서 어떻게 끌고 가야 하는가가 매우 중요한 상황이 된 겁니다.

 공포영화에서 각색의 문제는 사실 그렇게 쉽게 이야기 할 수 있는 지점은 아닙니다. 하지만 스티븐 킹의 작품중 대다수가 공포물이고, 문제의 공포물중 별로인 경우가 정말 많은 상황입니다. 실질적으로 각색에서 한계가 매우 강하게 들어가버리는 상황인 것이죠. 그나마 단편으로 출간된 작품들은 좀 덜 망하는 상황인데, 장편의 경우에는 그게 쉽지 않습니다. 이 영화의 문제는 그 장편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입니다.

 단편은 그나마 이야기의 구조 자체가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영화에 필요한 장치들을 쉽게 삽입할 수 있는 편입니다. 하지만 이 영화가 가져가는 이야기는 짧지 않기 때문에 각색을 반드시커쳐야 하는 상황이 됩니다. 아무리 원작에서 좋은 에너지를 보여준 지점이 있다고 하더라도 시각화 작업이 어렵거나, 영화적인 흐름에 맞지 않는다거나 한다면 편집을 반드시 해야 하는 상황이 되는 겁니다. 결국에는 영화에 맞는 이야기를 선별하는 작업부터 시작하는 것이죠.

 거기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 영화의 흐름을 만들어가는 것이 매우 중요해집니다. 책은 긴 호흡을 가지고, 어느 정도 느릿한 흐름을 가지고 영화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영화에 맞게 이야기 흐름을 편지 ㅂ해야 하는 상황이 되는 겁니다. 원작의 요소중 영화에 맞는 것을 결정하고, 이를 영화에 맞는 흐름으로 재편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상황이 되는 갑니다. 다행히 이 영화는 그 흐름을 만들어내는 데에 대단히 매력적인 지점을 잘 가져가고 있습니다. 그만큼 공포를 확실하게 만드는 것이죠.

 영화는 기본적으로 애완동물 공동묘지란, (심지어는 철자도 제대로 쓰지 않은) 알 수 없는 장소를 기반으로 진행됩니다. 말 그대로 반려동물이 죽고 나서 아이들이 뭍으러 오는 장소이죠. 하지만 그 장소에 관해서 계속해서 손 대지 말라는 이상한 일련의 경고들을 받게 됩니다. 심지어 해당 장소에 대한 일정한 이야기도 같이 듣게 되죠. 영화는 그 공포를 이야기 전에 여러 특성들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영화는 여러 특성을 같이 이야기 하는 상황입니다.

 초반은 기본적으로 불안감 조성을 위해서 더 강하게 움직이는 경향이 강합니다. 영화는 일정한 공포를 구성 하고 있습니다. 초기부터 기본적인 불안감을 조성하고, 공포의 일부를 같이 보여주는 식이죠. 이 영화의 재미는 그 공포를 매우 확실하게 대비시키고 있음으로 해서 영화의 재미를 배가시키고 있습니다. 다만 여기에서 이 영화가 한 가지 잘 하고 있는 것이 있는데, 초반부터 공포의 실체를 확실하게 보여주고, 어느 정도의 에너지를 같이 가져가고 있는 상황이 되는 겁니다.

 많은 최근 공포영화들이 실수하는 지점이기도 한데, 영화의 중반부까지 공포는 정말 쥐꼬리만큼 보여주고 불안감을 쌓는 데에 너무 골몰한다는 겁니다. 이 과정이 너부 심하게 반복되어 버리는 바람에 영화적인 재미가 중후반부까지는 정말 너무 아무것도 없는 상황이 벌어지는 겁니다. 하지만 이 영화가 보여주는 것들은 초반에 상당한 설명을 해주기는 하지만, 이 사이에도 공포를 ㅍ보여주는 데에 있어서 매우 자양한 지점들을 가져가고 있는 겁니다.

 영화는 시간이 갈수록 더 강한 불안과 공포를 이용하게 됩니다. 점진적으로 영화의 강도를 올려가면서 영화의 이야기를 더 무시무시하게 만드는 방향으로 가고 있습니다. 덕분에 영화는 공포의 실체를 동시에 같이 이야기 하는 상황이 되기도 합니다. 영화의 공포는 점점 더 강렬해지며, 최종적으로 영화가 가져가고자 하는 폭력성을 점점 더 강하게 드러내기도 합니다.영화의 흐름을 가져가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지점들을 여럿 가져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영화가 무조건적인 단계성을 가져간다고 말 할 수는 없는 상황이기는 합니다. 기본적으로 영화가 어느 정도 파괴적인 면들을 가져가고 있고, 타이밍과 놀래키기를 매우 많이 이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영화가 가져가는 이야기가 스텝 바이 스텝으로 가져간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영화가 스테이지식 구성으로 가지는 않는다는 것이죠. 덕분에 이야기를 차곡차곡 쌓아가지만, 그만큼의 경고와 공포를 병행하고 있는 것이죠. 영화는 덕분에 흐름에 있어서도 일정한 이득을 보고 있습니다.

 영화에서 보여주는 캐릭터들 역시 매우 강렬한 지점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영화는 매우 기묘하게 다가오는 지점들이 있는 상황이 되는 것인데, 영화에서 주인공은 이웃을 통해서실체를 처음 이야기 하게 되고, 결국에는 영화가 보여주는 이야기는 해당 지점에서 매우 강렬한 지점들을 가져가고 있기도 한 것이죠. 이 영화의 공포의 핵심은 주인공을 통하여, 주인공이 알고 있던 것들이 다시 살아 온 듯 하지만, 전혀 다른 느낌으로 살아오면서 벌어지는 일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변 캐릭터들은 그 공포를 확산시키는 데에 매우 효과적인 구성을 가져가고 있습니다. 주변 캐릭터들은 각자의 문제를 이야기 하는 동시에, 영화적으로 매우 강렬한 지점들을 이야기 하는 상황이 되기도 했습니다. 사실상 매우 도구적으로 이용되는 점들이 있기는 합니다만, 이 영화의 강렬함을 만드는 데에 필요한 캐릭터 구성과 특성 설정은 잘 되어 있는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영화의 재미를 확실하게 만들기도 했고 말입니다.

 영화의 시각적인 면에 있어서도 굉장히 강렬한 편입니다. 기본적으로 가져가고자 하는 여러 특성들을 많이 보여주고 있고, 영화에서 결국에는 매력을 더 강하게 가져가는 상황이 되기도 했습니다. 일상과 공포가 충돌하는 곳에서 보여주는 지점을 확실하게 만들기 위하여 영화의 특성을 살리는 데에 성공을 거둔 겁니다. 본격적인 공포가 시작되면 그 강렬함을 이야기 하는 데에 있어서 역시 매우 재미있는 지점들을 여럿 살리는 데에도 성공 했습니다.

 배우들의 연기는 상당합니다. 특히나 이 영화에서 중심이 되는 제이슨 클락은 착한 사람이기는 하지만 번민과 욕망을 어떻게 다루는가에 관하여 매우 고민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덕분에 영화의 이야기는 일정한 강렬함을 같이 가져가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죠. 약간은 상황을 말들어낸 듯한 존 리스코는 캐릭터부터 시작해서 상당히 세심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일을 자초했음에도 미워할 수 없는 캐릭터를 완성 해냈습니다.

 매우 뻔하긴 하지만 잘 만든 영화입니다. 공포영화가 가져가야 하는 강렬함에 관해서 충분히 고민한 모습을 영화에서 보여주고 있는 상황이며, 결국에는 영화적인 재미를 만들어내는 데에 있어서도 좋은 모습을 가져가고 있습니다. 그 이야기인 즉슨 공포 역시 매우 강렬한 상황이라는 니야기이며, 그 공포에 관해서 어느 정도 면역이 되어 있지 않은 분들에게는 힘든 영화가 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제대로 된 공포물을 즐기길 원하는 분들에게는 이 영화가 매력적이라고 충분히 말 할 수 있겠습니다.

덧글

  • 로그온티어 2019/04/14 04:44 #

    아..... 이게 그거였어요?;;;;; 애완동물공동묘지였다고;;;;
    포스터를 흔한 미국산 B급 공포영화 포스터처럼 만들어놔서 몰랐음;;;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예스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