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녀석들 : 포에버 - 원래 그렇다는걸 알기에 재미있게 다가온 영화 횡설수설 영화리뷰

 이 영화를 결국 리스트에 올리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영화에 관해서는 무척 기대를 하고 있는 상황이기는 합니다. 솔직히 이 영화가 가져가는 이야기가 있고, 그 이야기가 너무 궁금했기도 하고 말입니다. 개인적으로 이 영화가 가져가는 이야기가 무척 궁금하기도 했기 때문에 안 볼 수가 없더군요. 솔직히 이 시리즈라 보는 것이기도 해서 그냥 리뷰 없이 가볍게 볼까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만, 그렇게 하기는 좀 미묘해서 말이죠.

 그럼 리뷰 시작합니다.






 이 영화가 가져가는 이야기나 감독 이야기를 하기 전에, 일단은 예전 추억 이야기를 해야 할 듯 합니다. 솔직히 저는 나쁜 녀석들 1편을 제대로 본 사람은 아닙니다. 아주아주 나중에 비디오로 출시 되고 나서 영화를 본 케이스죠. 솔직히 당시에는 영화가 무슨 재미였는지 제대로 기억도 못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아무래도 고이장히 느릿한 이야기를 선호 하던 시절이었으니 말입니다. 당시에 마이클 베이 역시 전혀 이해가 안 되는 감독이기도 했고 말입니다.

 하지만, 이후에 나온 2편의 경우에는 정말 즐겁게 본 기억이 납니다. 동생과 영화를 봐야 했기 때문에 당시 연소자 관람불가로 나온 이 작품을 극장에서 볼 수 없어서 젠틀맨 리그를 극장에서 본 기억이 나기도 하는데, 솔직히 나쁜 녀석들이 훨씬 더 재미있게 다가왔던 기억이 납니다. 많은 분들이 그닥 좋지 않은 작품이라고도 하는데, 솔직히 이 작품은 말 그대로 모든 것을 작살내는 총질과 엉망으로 만드는 액션이 일품인 영화라는 점에서 그냥 그쪽으로 즐기는 것이 다라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작품이었죠.

 사실 그 이후에 속편을 보리라고는 생각을 거의 안 하고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윌 스미스가 1편으로는 영화판에 드디어 발을 들이기 시작한 상황이었고, 마틴 로렌스 역시 코미디에서 방향을 바꾼 처 ㅅ케이스라는 점에서 중요하게 다가오는 지점이 있었습니다. 그 이후에 나온 2편도 매우 힘든 과정을 거쳐서 영화를 만든 케이스였죠. 당시에 두 배우 모두 톱을 달리고 있었던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사실 그 이후에 속편이 없어서 그냥 없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두 영화 모두 마이클 베이의 에너지가 매우 강하게 발휘된 작품이었습니다. 사실 이 문제에 관해서 영화가 가져가는 이야기는 묘하기는 합니다. 솔직히 두 배우 모두 나름대로의 방향성이 있던 상황이다 보니 속편에 다시 나오기 쉽지 않은 상황이 되어버린 것도 사실이죠. 게다가 마이클 베이는 제리 브룩하이머 사단에서 일 하던 시기에 이 영화를 만들었고, 지금은 갈라선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사실 이 영화가 가져가는 이야기가 그래서 미묘하긴 합니다.

 이번에 감독을 맡은 배우는 아딜 델 아르비와 빌랄 팔라입니다. 사실 두 사람 이전에 조 카나한이 감독을 하려고 했었던 상황입니다. 조 카나한은 이미 A-특공대에서 매우 좋은 모습을 보여준 바 있었죠. 하지만 제작이 늘어지고, 창작 견해 역시 문제가 되는 바람에 결국 이번 감독들로 바뀐 상황입니다. 이번 감독들에 관해서는 정말 할 말이 없는 상황인데, 팻저 라는 영화와 블랙 이라는 영화를 했다고 하는데, 두 영화 모두 본 적이 없어서 할 말이 전혀 없는 상황이죠.

 그래도 일단 이번에 전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배우중 셋이 돌아옵니다. 마이클 라우리 역할을 했던 윌 스미스 역할을 했고, 마커스 버넷 역할을 맡은 마틴 로렌스 역시 돌아옵니다. 특히나 마틴 로렌스의 경우에는 정말 오랜만에 국내 극장가에서 볼 수 있는 상황이 된 상황입니다. 그나마 윌 스미스는 스파이 지니어스 같은 영화의 더빙도 참여하는 활발한 영화 활동을 하고 있지만 말입니다. 다만, 둘 다 최근에 영화 성적이 좀 미묘한 것도 사실이기는 합니다. 윌 스미스는 알라딘 빼면 최근 영화들이 다 미묘하죠. 그나마 게임 체인저에서 연기력이 출ㄷ중하단 것은 증명하긴 했지만 말이죠.

 이 외에 조 판토리아노 역시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번에도 서장으로 나오고 있죠. 지난 영화에서 그 성질을 부리던 인물로 기억하고 있죠. 다만 많은 분들이 매트릭스의 싸이퍼 역할로 기억하는 배우일 거라는 생각도 듭니다. 이 외에 바네사 허진스도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 다만 제가 아는 작품 중에 잘 나온 것도 많지만, 아닌 것도 너무 많은 배우이기도 합니다. 이 외에는 알렉산더 루드윅 정도 알겠는데, 이 배우는 헝거게임 : 판엠의 불꽃에서 매우 기묘한 연기를 해서 기억한 케이스이기는 합니다.

 이 영화는 은퇴를 생각하는 마커스와, 그래도 아직까지는 뭔가 해보려는 마음이 있는 마이크의 생각 차로 인해서 서로를 걱정하게 되며 시작합니다. 이 와중에 위협이 들어오게 되고, 두 사람의 힘 만으로는 일을 제대로 해결할 수 없다는 판단을 하게 되면서 신식 무기들로 무장한 새로운 젊은 팀과 일을 해결 하려고 합니다. 영화에서는 이 상황에서 두 사람의 이번 임무가 마지막 임무가 될 거라는 느낌을 주면서 영화의 이야기르리 진행하게 됩니다.

 이 영화는 액션 영화입니다. 고로 사실 스토리 소개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은 것도 사실입니다. 보통의 영화에는 스토리가 영화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아무래도 상황을 스토리가 설명 해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액션의 경우에는 스토리의 역할이 말 그대로 액션이 왜 있어야 하는가에 관한 일종의 설명 이며, 동시에 액션이 존재하는 판을 만들기 위한 도구에 더 가깝습니다. 이 영화의 스토리는 그 지점을 매우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 이야기 할만한 건덕지가 그렇게 많지 않기는 합니다.

 스토리가 구조적인 면에서 액션을 제대로 받쳐주고 있기에 이 영화의 이야기가 완전하다는 말을 할 수는 없습니다. 사실 이 영화에서 필요한 지점은 다 갖추고 있기는 하지만 말입니다. 다만 이 영화에서 판을 만들어내기 위한 기반 설명을 하는 점에 관해서는 약간 다뤄야 하는 지점들이 있기는 합니다. 특히나 이 영화에서는 인물들간의 관계를 스토리로 풀어내는 지점들이 좀 있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전작과의 연계성도 스토리를 풀어가는 지점에서 발생하고 말입니다.

 두 주인공은 매우 다른 성격을 처음부터 드러내고 있습니다. 마커스라는 인물은 이제 안정된 집안 사정을 고려해서 은퇴를 하려고 하지만, 그 동료인 마이크는 여전히 경찰로서 화려한 생활을 하고 싶어 합니다. 두 사람은 전혀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파트너로서 여전히 열심히 일을 하는 사람들이기도 합니다. 영화의 메인 스토리에 두 사람의 성격이 가미 되면서 영화의 방향을 만들어내는 식이기 때문에 두 사람의 성격상 차이로 발어지는 이야기는 의외로 중요하게 다뤄지게 됩니다.

 영화에서 보여주는 갈등 양상은 결국 액션에 반영되며, 이를 통해서 영화의 스펙터클을 만들어내는 식이기도 합니다. 덕분에 영화에서 계속해서 뭔가 위태한 듯 하면서도 여전히 손발이 맞는 콤비라는 것을 만들어내는 데에 성공을 거뒀습니다. 물론 두 사람의 관계에서는 액션만 나오는 것이 아니라, 영화상 스토리의 강약을 조절하기도 합니다. 전작에서도 매우 확실하게 써먹었던 지점이며, 이번에도 같은 특성을 매우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문제는 둘의 갈등 양상에 관해서 설명이 좀 길게 다가오는 면이 좀 있다는 겁니다. 악당이 하는 일이야 그렇게 새로울 것이 없기 때문에(?) 수사의 파트에서 적당히 넘어가기는 하지만, 둘 사이의 문제는 영화에서 필요한 지점 이상으로 세밀하게 다뤄진다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사실 그래서 더 캐릭터들이 다가오기는 합니다만, 영화의 이야기 역시 같이 늘어지는 문제 역시 안고 가고 있습니다. 이 문제로 인해서 영화의 이야기가 대단히 피곤하게 다가오는 상황인 것이죠.

 캐릭터간의 상황 봉합 역시 그다지 매끄럽지 않다는 것 역시 문제입니다. 기본적으로 이 영화에서 그렇게 죽일 듯이 난리를 피우다가도, 나름대로 해결점을 잡아가는 것이 이 영화의 묘미인데, 액션으로 넘어가면서 적당히 그냥 버무려버리고 넘어가려는 모습이 보입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이라면, 액션 만큼 감정적인 도구가 없을 정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에 영화에서 그렇게 크게 눈에 띄는 면은 아니라는 겁니다.

 핵심 주인공 둘의 특성이 매우 강하게 다가오는 만큼, 조연득 역시 나름대로의 방향을 만드러내게 됩니다. 전작들과는 달리 조연들이 정말 액션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경우가 꽤 있는 상황이다 보니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죠. 영화에서 보여주는 조연들은 주인공 두 사람이 경찰 내에서도 이제는 고참이다 못해 노땅 이라는 식으로 이야기를 하고 있고, 덕분에 새로운 면을 가져가겠다는 식으로 이야기를 하고 있기도 합니다.

 물론 조연들 역시 영화에서 개그가 상당히 강하게 들어가고 있기도 합니다. 주인공 두 사람에게 감정적인 위기감을 주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영화에서 나름대로의 색을 드러냄으로 해서 영화에 필요한 방향성을 설계 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다만 영화의 특성으로 인해서 깊이를 드러내는 식이라기 보다는 각 상황에 맞는 이야기를 한다거나, 아니면 더 많은 개그를 사용한다거나 하는 식으로 영화를 만드는 데에 도움을 주는 식입니다.

 과거 시리즈들이 다 그랬던 만큼, 영화는 비장함이 어느 정도 깃들기는 하지만, 거의 대부분이 매우 밝은 이야기를 위주로 진행 하고 있습니다. 잔혹함이 있긴 하지만, 동시에 엄청나게 많은 개그로 승부를 보는 식이죠. 사실 전작들보다 타이밍이 좋거나, 구도가 좋은 장면들 마저도 있는 편입니다. 2편에서 보여줬던 과감하다 못해 과격한 장면들이 이번에는 영화에 맞게 좀 더 잘 재단된 느낌이 되었다고나 할까요. 덕분에 영화가 나름대로 풀어나가는 활로를 제대로 찾아간다고 할 수 있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물론 여기에서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은 역시나 액션입니다. 이 작품은 소위 말 하는 무술로 이뤄진 장면 보다는 차량 추격전, 엄청난 분량의 총알이 들어가는 총질로 더 많은 장면을 보여주는 식입니다. 전작들도 그랬던 만큼, 이번에도 액션 장면들을 활용하는 데에 있어서 정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걸 어떻게 보여줘야 하는지에 관하여 고민하고 영화로 풀어가는 데에 있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죠.

 약간 재미있게도 오랜 액션 장면들에서 보여줬던 명확하고 정갈한 면을 의외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겁니다. 2편은 정말 온전히 마이클 베이 영화라고 말 할 수 있을 정도로 정신 없고 떠들썩한 액션을 꽤 많이 사용했는데, 이보다 훨씬 더 보기 편한 액션을 만들어낸 겁니다. 그렇다고 해서 이 영화의 액션이 낡았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여전히 파괴적이고 강렬한 지점을 많이 사용하되, 사람들이 보고 즐기는 데에 최적화 할 수 있게끔 제대로 재단을 해냈다는 이야기입니다.

 전체적인 흐름이 약간 불균질하다는 것이 약간의 약점이라면 약점입니다. 앞에서 이야기 했듯이, 영화의 이야기가 액션을 받쳐주는 데에 있어서 크게 흠결이 가는 것은 아닙니다만, 캐릭터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설명이 너무 자세한 만큼, 이야기가 늘어지는 증상이 약간 보이게 됩니다. 이 지점들이 간간히 나오기 때문에 곳곳에서 영화가 늘어지는 느낌이 있는 상황이 벌어지게 됩니다. 다만 영화를 보는 데에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니라는 점에서 크게 문제라고 할 만한 지점은 아니긴 합니다.

 시각적인 면에서 역시 현대 영화의 구도와 과거 작품이 가졌던 에너지를 여전히 다 사용하는 데에 매우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매우 밝고 화사한 느낌 아래, 거친 느낌을 살리는 화면 질감도 여전히 살아있고, 영화에거 액션의 파괴적인 면과 규모 감각을 살리는 데에 있어서 역시 상당히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청각적인 면에서 역시 정말 멋진 지점을 여럿 드러내고 있는데, 공간감과 역동성을 다 표현하는 데에 성공했기 때문입니다.

 약간 맘에 걸리는 것은 전작들과의 연계입니다. 약간 기묘하게도 이 영화에서 인물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전작들을 어느 정도 봐야 이해를 하는 지점들이 생기게 됩니다. 영화에서 그렇게 자세히 설명하는 관계가 지금 이 사람들의 관계가 아니라 영화 속에서 새로 형성되는 지점들이라는 점 때문에 기묘한 아이러니가 발생하는 것이죠. 덕분에 전작 없이는 그냥 사이 안 좋은 사람들이 아닌가 하는 묘한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배우들의 연기는 잘 맞는 편입니다. 윌 스미스의 경우에는 정말 오랜만에 악동 이미지를 다시 사용하게 되었는데, 덕분에 최근의 가족 사랑 이미지만 익숙한 분들에게는 좀 어색하실 수도 있겠지만, 전작을 아는 분들에게는 여전하다 라는 말을 할 수 있는 정도입니다. 마틴 로렌스 역시 영화에 필요한 지점을 잘 끌어내고 있습니다. 코믹한 영화에서 보여줬던 내공이 이번에도 발휘 되고 있는 데다가, 나이를 활용한 지점까지 매우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죠. 다만 다른 배우들의 경우에는 좀 더 도구적으로 이용되는 상황이기는 합니다.

 꽤 즐거운 영화입니다. 다 떠나서, 말 그대로 다 때려부수고 화끈하게 나아가는 액션 영화의 공식을 사용하는 데에 가장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영화입니다. 심지어는 올드한 영화의 방식을 어떻게 현대 영화과 결합하는가에 관해서 기능적인 측면에서 승리를 거둔 작품이기도 하고 말입니다. 약간의 사전 지식을 요하지 않았다면 정말 최고의 작품이 되었을 거라는 생각도 듭니다. 바로 그 사전 지식을 아는 분들에게는 정말 즐거운 영화가 될 거라고 생각되네요.



예스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