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랜드 - 그냥 그런 재난 영화에 적당히 나오는 인간 이야기 짬뽕 횡설수설 영화리뷰

 이 영화는 솔직히 가장 미묘하기는 합니다. 아무래도 영화가 가져가는 이야기가 미묘하게 다가오는 지점들이 있는 것이 사실이기는 해서 말이죠. 하지만 이 영화에 대한 기대는 매우 뻔한 것이고, 그 기대하는 점 중에 제가 극장을 찾게 만드는 점이 있는 것도 사실이기는 해서 말입니다. 아무래도 미묘하게 다가오는 지점들이 있긴 하지만, 그 덕분에 영화를 즐기러 가는 면들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런 면에서는 확실히 극장에서 봐야 하는 면이 있죠.

 그럼 리뷰 시작합니다.






 릭 로먼 워 감독은 개인적으로는 참 미묘한 감독입니다. 아무래도 주로 고만고만한 영화들을 주로 하는 감독이기는 하기 때문입니다. 솔직히 영화들이 거의 비슷해 보인다는 것은 좀 아쉬운 면이기도 하고 말입니다. 당장에 펠론 이라는 영화는 정말 가지고 가고자 했던 것에 매우 충싷나 영화로, 솔직히 재미는 있지만, 딱 거기까지라는 느낌이었습니다. 다시 보기에는 참 미묘한 상황이라는 점 역시 아무래도 미묘하게 다가오는 것도 있었고 말입니다.

 이후에 나온 스니치의 경우에는 솔직히 좀 아쉬운 영화였습니다. 영화 자체는 그렇게 나쁘다고 말 할 수 없는 상황이기는 했습니다. 다만 이 경우는 정말 독특하게도 영화를 자막이 망친 케이스여서 말이죠. 솔직히 자막이 정말 창의적 이라는 말을 해야 하긴 하겠더군요. 그래서 더 애매하게 다가온 것도 있습니다. 그 이후에 나온 샷 콜러 라는 영화는 그럭저럭 평가도 나쁘지 않기는 한데, 제 취향에서는 거리가 정말 먼 것이 사실이었습니다.

 하지만 제가 그래도 이 감독을 좀 지켜봐야 겠다는 생각을 한 것이 엔젤 해즈 폴른 이라는 영화였습니다. 솔직히 시리즈가 정말 독특한 길을 가고 있는데, 1편은 정말 별로였고, 2편도 썩 좋다고 말 할 수는 없지만 1편보다는 나은 기묘한 상황이 되었으며, 심지어는 엔젤 해즈 폴른 와서는 영화 자체가 그럭저럭 괜찮아진 상황이 되었습니다. 사실 3편은 앞의 두 편에 비하면 정말 환골탈태 정도로 괜찮아진 케이스이기도 해서 말이죠. 그래서 감독을 믿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이에 반해서 제라드 버틀러는 개인적으로 참 애매한 배우입니다. 싫다는 것은 아닙니다. 감독이랑 같이 작업을 한 엔젤 해즈 폴른 같은 영화에서는 잘 어울리는 역할을 했으며, 런던 해즈 폴른에서도 영화 자체는 그럭저럭이지만 배우로서는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는 상황이 된 겁니다. 게다가 300에서 보여준 모습을 생각 해보면 정말 제대로만 걸리면 좋은 모습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캐릭터가 된 것이 사실이기는 합니다. 심지어는 비슷한 이미지를 어글리 트루스와 모범 시민에서 사용하기도 했고 말입니다.

 문제는 다 잘 된 것이 아니라는 겁니다. 당장에 아동용 영화인 님스 아일랜드는 이미지의 반복을 그대로 쓰면서 영화가 망하는 상황이었습니다. 게이머는 자기 이미지를 그대로 쓰면서도 연출이 안 되는 사람과 붙으면 영화가 안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보여줬고, 이 문제는 이후에 나온 바운티 헌터 역시 마찬가지 였습니다. 하지만 정말 심하게 망가진 영화가 있으니, 갓 오브 이집트 였습니다. 당시에 극장에서 보면서 정말 너무 눌라버렸는데, 영화가 망가진 만큼, 본인도 아예 손 놓고 있더군요. 같은 모습을 지오스톰에서 보게 될 거라고는 생각도 못 했을 정도로 말입니다.

 모레나 바카린은 참 미묘하긴 합니다. 그래도 배우로서 나쁜 못브을 보여준 것은 아닙니다. 고담 시리즈에서도, 그리고 홈랜드 시리즈에서도 꽤 좋은 연기를 보여줬고, 데드풀 영화 시리즈에서도 이야기에서 뭘 내세워야 하는가에 관하여 나름대로 고민을 한 흔적이 보입니다. 브이 시리즈에서도 애너 역할을 하면서 희한한 모습을 잘 보여주기도 했고 말입니다. 문제라면, 사이사이에 이상한 코미디 영화를 했다는 것과, 메인으로 나온게 아주 많지는 않다는 사실입니다. 이로 인해서 아무래도 걱정되는 지점이 있는 것이죠.

 이 외에 눈에 띄는 배우는 스콧 글렌 정도입니다. 사실 배우의 연기로서 밀어붙이기 좋은 케이스는 아닙니다. 워낙에 다양한 영화에 줄줄이 이름을 올린 케이스이니 말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좀 애매한 이미지의 배우이기도 한데, 써커 펀치에서 개폼은 잡았으나, 영화적으로 좋다고 말 하기에는 어려운 배역을 했고, 그나마 괜찮다고 말 할 수 있는 본 시리즈에서는 영향력이 그렇게 큰 배역은 또 아니었죠. 트레이닝 데이와 버티칼 리미트는 나름 좋은 영화이기는 한데, 다른 배우들이 잘해냈거나, 아니면 장르성이 매우 확실했던 케이스입니다.

 이 영화는 혜성이 지구에 충돌 하면서 시작됩니다. 일종의 장관이 펼쳐지면서 해상으로 떨어질 거라고 예상했던 혜성의 파편들이 세계 대도시를 덮치면서 영화가 진행 되죠. 이 문제로 인해서 존과 그 가족들은 대피를 하게 됩니다. 이 상황에서 심지어는 지구의 4분의 3을 날려버릴 혜성 본체까지 이틀 뒤에 추락한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게 되면서, 그린란드 라는 벙커로 향하게 되죠. 이 영화는 그 과정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재난영화에는 특정한 부분을 기대하게 되는 면이 있습니다. 사실 스토리 면에서 기대를 하는 것은 별로 없기는 합니다. 대신 시각적으로 매우 강렬한 느낌을 바라는 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작품에 뭐가 되었건간에, 과연 재난이 무엇을 내세워야 하는가에 관해서 매우 중요하게 다가올 수 있긴 합니다. 스토리가 재난을 어떻게 내세우고, 그 재난이 벌어지는 과정에서 무슨 일들이 벌어지며, 이를 주인공 일행이 어떻게 피해가고 있는가를 다루는 것이 가장 중요한 지점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영화 역시 해당 지점을 상당히 자세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이야기가 진행되면 운석이 떨어지는 재난이 발생하고, 더 크고 많은 운석으로 인해서 벌어지는 일들을 피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이야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와중에 다른 작은 운석이 떨어지면서 벌어지는 재난이 계속해서 시각적인 면을 채우면서 이야기 속의 불안감을 더 자극하고, 시각적인 강렬함을 더 많이 가져가는 식으로 가고 있습니다. 물론 여기에서 더 중요한 것은 후자라고 할 수는 있습니다.

 냉정하게 말 해서 매우 급박한 일이 벌어지기는 하지만, 영화적인 쾌감이 확대되는 것이기도 하기 때문에 영화 속 고난이 결국에는 영화적 쾌감으로 이어지는 면을 보여주고 있는 겁니다. 이 과정에서 보여주는 여러 상황들을 보고 즐기면서 영화의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것이죠. 다만, 재난 영화에서 주로 나왔으면 하는 것은, 특히나 거대한 재난이 나오는 경우에는 시각적인 황홀경을 더 강하게 가져가기를 바라는 식으로 가고 있습니다.

 이 영화도 시각적인 면에 관해서 나름대로 할 수 있는 것들은 하려고 노력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새로운 것들이 아니기는 하지만, 말 그대로 모든 것들을 쓸어버릴만한 것의 전조를 보여주면서도, 그 파괴력을 더 강하게 보여줄 수 있다는 점으로 인해서 영화의 재미를 확대하는 식으로 가고 있는 겁니다. 이 문제에 관해서 영화는 나름대로 시각적인 즐거움을 기본적으로는 가져가려고 한다는 것을 잡아내기는 했습니다.

 실제로 보고 있으면 영화의 특정 순간에 나오는 강렬함은 나름대로 영화적인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데에 성공을 거뒀다고 말 할 수 있을 정도는 되었습니다. 아주 새로울 것이 없는 것은 사실이기는 합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이 영화가 식상한 화면만을 계속 보여주고 있다는 이야기는 또 아닙니다. 덕분에 여오하에서 적어도 화면이 보여주는 순간들만은 나름대로 방향을 가져가는 데에 성공을 거뒀다고 말 할 수 있을 정도는 되었습니다.

 문제는, 이 영화가 과연 올해의 재난 영화라고 말 할 수 있을 정도의 강렬함을 가지고 있다고는 말 할 수 없다는 겁니다. 딱 쾌감을 주는 데에서 멈췄고, 그 이상의 강렬함을 가져가는 데에 있어서 그다지 할 말이 없는 상황이 되어버린 겁니다. 대부분의 재난 영화가 그냥 보고 즐기는 쪽으로 마무리 한다는 점에서 큰 단점이 되지는 않습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이 영화가 어떤 새로운 이정표를 세울만한 거대한 영화인가 하면, 그건 또 아니라는 겁니다.

 이 와중에 나름대로의 또 다른 시도가 들어가기 때문에 영화의 이야기가 약간 다르게 다가오기는 합니다. 영화에서는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하게 됩니다. 말 그대로 군종이 살아남으려고 몸부림 치는 것을 영화에서 보여주고 있는 것이죠. 각자가 문제를 안고 있고, 그 문제를 이야기 하는 쪽으로 가고 있기 때문에 영화 속에서 사람들의 모습을 보며, 그 속에서 일종의 절박함을 더 강하게 전달하는 식으로 가고 있는 겁니다. 불행히도, 이 역시 그렇게 잘 되었다고 말 하기에는 아무래도 한계가 있어 보인다는 겁니다.

 주인공 일행은 그렇게 새로울 것 없는 사람들입니다. 그나마 나름대로 생존을 위해서 어느 정도 아는 면이 있고, 이를 약간 더 아는 면을 약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영화에서 살아남기 위한 여러 다른 일들을 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인물들 역시 다른 사람들에게 휩쓸려 들어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결국에는 살아남기 위한 여정에서 계속해서 새로 생긴 문제들을 해결해야 하는 상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것은 자연의 재난일 수도 있고, 인간의 욕심이 벌이는 일들일 때도 있습니다.

 앞에서 자연이 주는 재난의 강렬함을 만들어내는 데에 상당히 다양한 지점들을 가져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크게 놀라울 것은 없지만, 이 영화에서는 인간이 주는 여러 재난 역시 상당히 다양하게 다룸으로 해서 영화의 또 다른 면을 만들어내려고 노력합니다. 심지어는 이 속에서 역시 스펙터클을 끌어내는 면모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재난 블록버스터가 흔히 그냥 넘어가는 인간의 요소를 강조함으로 해서 영화의 이야기를 좀 더 풍성하게 만드는 식으로 간 겁니다.

 인간의 여러 면들을 보여준다는 것에 관해서는 그다지 나쁘지 않다고 말 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이 영화가 그 속에서 아주 다양한 면모를 끌어내고 있지는 않다는 것이 문제가 됩니다. 상황에서 필요할 때 마다 인간의 악랄한 면모나 바보같은 면모를 끄집어내서 영화의 강렬함을 만들어내는 식인데, 매우 반복적이고 뻔합니다. 심지어는 이 상화엥서 군상의 본질을 보여주려고 하다가도, 순식간에 그냥 모두 시각적인 스펙터클로 연결 해버리기도 합니다.

 이 모든 것들이 반복되면서 영화는 그냥 그런 이야기의 반복이라고 할 수 있는 지점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결국에는 새로운 것을 보여주려고 하는 듯 하다가도 아는 내용으로 다시 돌아와 버리는 것이죠. 사실 이런 영화에서 새로운 면을 기대한다는 것이 바보짓 이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기대를 하게 만들었으면 어느 정도 내보여주는 것이 있어야 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이 문제로 인해서 영화가 그냥 평범하게, 그리고 특정 지점에서는 아예 지루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모든 것들이 반복되는 흐름은 그래도 에피소드 단위의 이야기와 영화 전체의 흐름이 방향을 어느 정도 잡아가고 있다는 점에서 아예 못 볼 꼴을 만들어내지는 않고 있습니다. 이 영화가 가져가고자 하는 것들에 관해서 매우 다양한 지점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를 하나의 흐름으로 유지하는 데에 나름대로 노력을 했다는 점에서 영화의 이야기에 나름대로 접근하기 쉬운 면을 보여주고 있는 상황이 되기도 했습니다.

 각각의 에피소드 단위에서 보여주는 면들 역시 그렇게 나쁘지 않은 편입니다. 내부의 그 상황에 대한 흐름을 전체적인 결과 어느 정도 유지하는 면을 가져가고 있기 때문이죠. 덕분에 각 에피소드 단위로 보면 반복적이라는 느낌이 드는 것도 사실이기는 합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이 영화가 그 반복에 관하여 아예 아무 재미도 안 주는 것은 아니라는 겁니다. 덕분에 영화의 재미를 기본적인 지점에서 유지하는 데에 성공한 겁니다.

 시각적인 면은 앞에서 말 했듯이 적당한 수준입니다. 사실 스펙터클을 만드는 데에 있어서 너무 뻔한 공식을 쓰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일반적인 상황에 대한 시설 마저도 우리가 흔히 아는 영화에서 그다지 할 말이 없는 상황이 되어버린 것이 사실입니다. 이 문제로 인해서 영화가 보여주는 것들에 관하여 이 영화가 시청각적으로 아주 새로운 재미를 주는 데에 아무래도 아쉬운 상황이 되어버렸습니다. 그래도 그냥 볼 정도는 되긴 했지만 말입니다.

 배우들의 연기는 그냥 그렇습니다. 가장 핵심이 되는 배우는 역시나 제라드 버틀러인데, 솔직히 제라드 버틀러에게 기대하는 연기 수준 정도입니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보여주지 않죠. 다만 이번에는 그냥 상황 장악에 관해서 신나 하는 인간이라는 느낌을 주지는 않고 있단느 점에서 적어도 진일보한 면을 가져가고 있습니다. 다른 배우들 역시 영화의 분위기 정도는 파악하고 있다는 느낌을 주고 있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그냥 시간 보내는 데에 적당한 영화 정도입니다. 예산 문제로 인해서 더 강렬한 시청각적 스펙터클을 만들어내는 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나름대로 인간적인 면을 사용하려고 한 듯 합니다만, 이 역시 그냥 적당히 마무리 되는 식으로 가버리고 있습니다. 영화의 재미에 관해서는 그냥 적당하지만, 뭔가 다른 면을 조금이라도 기대하시거나, 영화가 내세우는 인간의 면모를 더 보길 원하는 분들에게는 아쉬운 영화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덧글

  • 포스21 2020/10/01 08:14 #

    솔직히 재난 영화라는게 워낙 뻔 한 클리세라...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예스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