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 지구 대탈출 - 그림은 매력적인데, 과학은 한 물간 작품 요즘 출판된 소설 까기

 또 다른 책 리뷰입니다. 사실 이 경우는 좀 독특한 케이스인데, 아무래도 제 공룡 사랑이 간간히 다시 부활 할 때가 있어서 말입니다. 이 경우가 바로 그 경우라고 할 수 있죠. 솔직히 요새 공룡 책들 중에서 성인 대상으로 나오는 책이 정말 적은 상황이기 때문에 이 글이 가져가는 이야기가 너무 궁금할 수 밖에 없더군요. 게다가 솔직히.......좀 편안한 책을 원하는 면도 있다 보니 이 책이 너무 땡긴 것도 사실이기는 했습니다.

 그럼 리뷰 시작합니다.






 어렸을 때 공룡을 정말 좋아했습니다. 물론 암래도 쥬라기공원은 좀 충격으로 다가오는 면이 있긴 했습니다. 공룡이 나오는 멋진 영화인 동시에, 공포영화 카테고리에 간간히 포함 될 정도로 공포스러운 면도 있었으니 말입니다. 사실 이 모든 것들이 뒤엉켜 들어가는 것 덕분에 아무래도 영화 보다는 다른쪽, 특히나 공룡 그림으로 채워져 있는 그림을 더 좋아하는 상황이긴 했습니다. 이후 시간이 더 지나면서 다큐멘터리와 여러 책들을 더 좋아하는 상황이 되기도 했죠.

 사실 제가 더 좋아했던 작품은 공룡왕국 이라는 작품이었습니다. 국내 제목은 그렇고, 원래 제목을 그대로 읽으면 랜드 오브 로스트 라는 작품이었습니다. 과학적인 엄밀성으로 보고 있으면 정말 기막히게 엉망진창인 작품이긴 했습니다만, 작품 자체의 재미로만 보면 그래도 나쁘지 않은 작품이기도 했습니다. 사실 어렸을 때, 비디오 3개인 시절만 기억이 나는데, 이후에 에피소드가 줄줄이 계속해서 나오는 것을 보고 있노라면 의외로 원래 만든 국가에서도 인기가 좋은 작품이라는 생각도 들더군요. 물론 나중에 확인 해보니 비디오가 더 출시 되더군요.

 어렸을 때 공룡 좋아하는 사람들은 제 주변에는 별로 없기는 했습니다. 하지만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어렸을 시절에 공룡을 매우 좋아했던 것이 사실이기도 합니다. 공룡이라는 생물에 관해서 정말 다양한 사람들이 이야기를 했고, 당시에 점점 더 많은 과학적인 요소들을 사람들에게 소개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그냥 영화 속의 괴물이 아니라, 말 그대로 인간 이전에 살았었던 배우 독특한 생물이라는 것을 사람들에게 알리고 있었던 겁니다.

 물론 아무래도 많은 분들에게는 독특한 괴물 이라는 식의 이야기가 더 많았던 것이 사실입니다. 괴물이 가져가는 독특함, 그리고 묘한 매력과 동경을 이야기 할 수 있는 상황이라는 것을 생각 해보면, 공룡은 거기에 완벽하게 부합하는 존재라고 할 수 있었습니다. 심지어는 실제 있었던 생물이라는 점에서 더 많은 이야기를 할 수 있게 되기도 했습니다. 결국에는 상상과 화학적인 사실이 동시에 갈 수 있는 상황을 생각 해보면 정말 좋은 존재가 될 수 있는 상황이죠.

 이 책은 여기에서 공룡이 만약 멸종 되지 않고 계속해서 진화 하면 어떤 생물이 되었을까에 관한 지점에서 시작합니다. 상상도는 정말 많은 상황이지만, 여기에서 좀 더 외계인적인 풍모를 넣은 것이죠. 사실 이미 많은 작품에서 다뤘던 지점인 만큼 그렇게 놀라운 이미지가 된 것은 아니기는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발전한 생물이 공룡을 구제하려고 지구에 온다는 설정으로 시작해서 공룡 이야기를 더 진행할 수 있게 된 상황이 되었습니다.






 여기에서 공룡의 진짜 구제에 관해서 뭔가 아주 새로운 이야기를 한다는 이야기를 하지는 않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인기가 좋을 만한 공룡을 주로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티렉스 같은 공룡들이 주로 메인에 나온다는 이야기죠. 솔직히 그렇게 놀라운 이야기도 아니고, 아무래도 다양한 지점들이 나오기에는 책이 너무 얇은 것도 있기는 합니다. 그래도 공룡을 구한다는 것에 관해서 나름대로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있다는 것은 매력 있게 다가오는 지점이긴 합니다.

 여기에서 한 가지 재미있는 것은, 공룡의 생태에 관해서 과학적으로 어느 정도 밝혀진 것들을 작품에 적용 해서 보여주고 있는 지점이 있다는 사실입니다. 보통은 아주 황당한 이야기로 채워버리는 경우가 꽤 있는데, 이 작품의 경우에는 그래도 해당 문제에 관해서 나름대로 생각 한 좋은 디자인을 만드는 데에 성공했다는 겁니다. 이 지점들 덕분에 적어도 작품을 보는 데에 있어서 나름대로의 아이디어가 있다고 할만한 지점을 만든 것도 사실입니다.

 덕분에 이 책에서 보여주는 여러 지점들을 보고 있노라면, 매우 다양한 지점들을 가져가고 있다는 이야기도 할 수 있을 듯 합니다. 물론 여기에서 이야기를 굳이 깊게 가져가지 않는 것이 더 나은 상황이기는 합니다. 사실 애초에 아이들에게 좀 더 다가가기 쉬운 상당히 재미있는 이야기쪽으로 구성하는 식이기 때문에, 현실성과는 아무래도 할 말이 없는 상황이기는 합니다. 사실 깊게 생각하는 것 자체가 아무래도 바보같은 짓인 것이 사실이기는 합니다.

 여기에서 제게 중요한 것은, 이 작품이 가져가는 이야기가 결국에게는 성인이 볼만한 지점들이 있는가 하는 점입니다. 예전에는 그림책 하면 아이들이 읽는 것이라는 점 정도로 마무리 해버리고 거기에서 끝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요새는 그 그림들이 예쁜 경우로 인해서 아이들 그림 동화를 수집하는 분들도 간간히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이 책의 경우에는 그 지점에서도, 주로 SF적인 느낌을 좋아하는 분들에게는 약간 재미있게 다가오는 지점들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그림들이 재미있게 잘 그려져 있다는 이야기죠.






 물론 여기에서 과연 공룡에 대한 소개가 잘 되어 있을 것인가에 관한 질문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아무래도 얇은 책인 데다가, 구조에 대한 지점이 많이 등장하는 만큼, 공룡에 대한 이야기기 아주 잘 된다고 말 할 수 없는 지점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사실 일부 지점에서는 공룡의 매우 잘 알려진 습성만 매우 지엽적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말 할 수 있는 지점이 생기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나름대로의 공룡의 특성에 관해서 각 챕터가 끊어진다고 생각되는 부분에 소개를 넣어놨기 때문에 그래도 크게 문제가 없다고 이야기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솔직히 공룡의 제대로 된 소개나 최신 이론이 아니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공룡에 관하여, 적어도 이 작품에서 중요하게 생각 하거나 흥미로울 만한 대목을 잘 정리 했다는 점에서 이 책이 적어도 공룡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가치를 잡는 데에는 성공했다고 이야기 할 수 있게 되기도 했습니다. 그 덕분에 책을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책 속에 벌어지는 일들이 공룡을 위한 한 편의 드라마로서 다가오게 하는 약간의 소소한 재미를 좀 더 일깨워주는 면모를 가져가기도 합니다.

 공룡에 대한 본격적인 소개 역시 나름대로 방향을 잘 잡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앞에서 이야기 했듯이, 흥미로울만한 지점을 매우 잘 잡아낸 상황입니다. 솔직히 흥미도에 관해서 좀 떨어질만한 공룡도 있기는 합니다. 이런 문제는 최신 공룡 다큐멘터리를 많이 보신 분들이라면 무슨 이야기인지 바로 갑을 잡으실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 문제에 관해서 과감하게 잘라낼 부분은 잘라내는 식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대신 좀 더 유명한 공룡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동시에, 이를 시각적인 지점에서 더 많이, 그리고 재미있게 설명하려는 쪽으로 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공룡을 잘 아는 사람들에게는 일종의 심미적으로 다가오는 면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이 책에 문제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닙니다. 무엇보다도, 책에서 소개하는 공룡은 최신의 연구결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습니다. 그렇기에 종이 통합된 공룡을 거의 그대로 책에 실은 오류가 있기도 합니다. 그림에 들인 여러 매력적인 지점들을 생각 해보면 사실상 작품이 가져가는 이야기에 관해서 오히려 과학적인 지점에 관해서 아무래도 미묘하게 다가오는 지점들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사실 그렇기 때문에 과학을 조금이라도 원하는 분은 이 작품을 오히려 보면 안 되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나름 묘한 작품입니다. 사실 아이들에게 쇄 해주면서, 공룡이라는 신기한 생물에 관해서 소개하는 데에는 나쁘지 않은 책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나름대로의 매력을 이야기 하는 데에 성공하고 있으며 그 속에서 다양한 이야기를 한다는 것에 관하여 나름대로 방향을 잘 잡은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성인들에게는 그림을 관찰하는 재미라는 것을 나름 잘 보여준다는 점 덕분에 나쁘지 않다라고 할 수 있을 듯 합니다.



YES24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예스블로그